19대 국회의 마지막 정기국회가 오늘(1일)부터 100일간 열리지만 내년 4월 총선의 전초전 성격을 띠고 있어 그 어느 때보다 여야간 치열한 주도권 다툼이 예상된다.특히 박근혜 대통령이 하반기 최우선국정과제로 내세운 노동·공공·금융·교육 등 4대 개혁이 본격적으로 논의된다는 점에서 상임위 곳곳에 전운이 감돌고 있다. 여야의 주요전선은 크게 3곳이 될 전망이다. 경제 개혁 예산이다. 이번 정기국회의 최우선 슬로건은 여야 모두 ‘경제 살리기’이다. 이에 따라 새누리당은 이미 내년 총선공약 발굴을 위한 ‘민생119 본부’를 이달 초부터 가동한 데 이어, 정기국회 기간동안 24시간 비상대기 체체의 ‘정기국회 상황실’을 운영할 방침이다. 새정치민주연합도 총선실무기획단에 이어 다음달 총선정책기획단을 출범시키며 정기국회 및 총선 모드로 전열을 다지고 있다. 그러나 각론에 들어가면 새누리당은 ‘활성화’에 방점을 찍은 반면, 새정치연합은 ‘민주화’에 초점을 두고 있다. 새누리당은 일자리 창출과 경기 부양을 위해 기업의 투자를 촉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의 성공이 새누리당의 성공”이라는 김무성 대표의 말처럼 임기 반환점을 돈 박근혜 정부를 확실하게 뒷받침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새정치연합은 결사반대하고 있다. 여야간 최대 격전이 펼쳐질 곳은 단연 ‘개혁’ 관련 상임위들이다. 새누리당은 ‘청년들이 결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노동개혁 입법작업을 이번 정기국회에서 마무리할 태세다. 당 노동시장선진화특위를 중심으로 임금피크제 도입, 해고요건 완화 등을 담은 노동개혁 관련 법안들을 만들어 다음달 초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다. 이에 새정치연합은 경제정의·노동민주화 특위를 구성해 노동시간 단축 등을 통한 청년일자리 창출과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등 ‘노동민주화’를 내걸며 맞불을 놓고 있다. 정기국회를 앞둔 여야의 신경전은 이미 ‘특수활동비’를 놓고 불붙었다. 영수증 첨부없이 사용할 수 있는 특수활동비 제도개선을 위해 예산결산특위 내에 소위를 설치하자는 새정치연합의 요구를 새누리당이 거부하면서 지난 28일로 예정됐던 8월 임시국회 마지막 본회의가 무산됐다. 여야는 30일에도 한 치의 양보 없이 팽팽하게 맞서면서 31일 본회의 개최는 힘들게 됐다. 19대 국회 마지막 정기국회의 험난한 앞길이 예고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