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에서 장애인이 살기란 쉽지 않다. 도민들의 마음씨가 어떻다는 것이 아니라 경북도의 정책적인 지원이 너무나 열악하다는 의미다. 먼저 장애인의 발이 돼 줄 특별교통수단 및 저상버스 도입률만 들어도 전국 최하위라니 알만하다. 장애인의 시각으로 장애인을 챙기겠다던 약속은 부도수표가 됐다.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새누리당 강석호(영양·영덕·봉화·울진)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경북지역 장애인 콜택시 등 특별교통수단 도입율은 23.4% (전국 평균 82.5%), 저상버스 도입율은 5.5%에 불과하다. 전국 평균 18.5%의 30% 수준에도 미달한다. 경남지역의 특별교통수단 도입율이 154%로 법정대수 205대 보다 많은 316대가 운행 중이고, 대도시를 제외한 지역 중 전북조차 60.6%, 강원도 역시 54.2%가 도입돼 운행 중이라면 경북도민의 얼굴이 화끈거릴 일이다. 저상버스 도입율은 경북도가 고작 5.5%이지만 저상버스 경북 북부 지역과 사정이 비슷한 강원 지역이 30%, 경남 지역은 25%이다. 특별교통수단의 법정 공급대수를 충족하는 지자체는 서울, 부산, 광주 정도이다. 재정력 때문이다. 대 당 4000만원이 넘는 특별교통수단의 구입비는 중앙정부가 일부 지원하고 있으나, 운영비는 운행권자인 지자체에서 전액 부담해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다. 그렇다고 해도 경북도의 23.4%는 변명의 여지가 없어 보인다. 어렵기로는 저상버스가 더 하다. 저상버스도 구입비가 대 당 2억원을 넘어 운행비용이 일반 버스에 비해 높아 버스 업체의 자발적 구입·운행을 강제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주로 정부의 재정지원을 통해 공급이 이뤄지는데, 구입비의 일부는 지원되지만 운영비 지원은 없다. 해결책은 구입비 지원폭을 더 증가시키고 운영비도 상당부분 정부가 지원하는 도리밖에 없다. 장애인들에게는 문밖이 지옥이다. 장애인이 알아서 할 일이라고 말하고 싶겠지만 오늘 이 순간에 무슨 일을 당할지 모르는 것이 현대인의 운명이다. 공사장에서 공장에서 교통기관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하루에도 엄청난 사람들이 장애인 신분으로 바뀌고 있다. 정상인도 실상 ‘예비 장애인’인 것이다. 장애인을 돕는 것은 나와 내 가족을 돕는 것이다. 경북도는 지난해 10월 14일 ‘경북 장애인복지정책 4개년 종합계획’을 발표하고, ‘장애인이 중심이 되고 장애인이 행북한 경북도’로 만들겠다고 한 약속을 지켜 주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