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지난 7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컨벤션홀에서 박근혜 대통령에게 대구시 업무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업무보고회는 국정과제의 지역에서의 추진상황, 주요 현안사항 업무보고에 이어 청년일자리 창출에 관한 토론회와 300여명이 함께하는 오찬 간담회 순으로 진행됐다. 업무보고 자리에서 권영진 대구시장은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으로 벤처창업 생태계 조성, 자동차·기계부품·섬유 등 주력산업 혁신, 문화산업 활성화로 일자리 창출 등에 관해 설명했다. 이와 함께 대구경제 재도약을 위해 물·에너지·의료 등을 미래 신성장 산업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또 경북도청 이전 터 개발을 위한 ‘도청 이전 특별법’ 국회 통과, 첨단의료복합단지에 정부 지원 확대, 취수원·K-2 군 공항 이전, 대구권 광역교통망 구축, 서대구 KTX역사 건립 등의 지원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이는 미래 먹을거리 마련과 관련이 있거나 시가 정부에 꾸준히 건의해 온 숙원 사업들이다. 경북도청 이전 터 개발의 경우 시는 지난해 국토연구원에 의뢰해 이곳을 정보통신기술(ICT)기반 창조경제 중심지로 조성한다는 방안을 마련했다. 창조경제단지-경북대-동대구벤처밸리 등을 연결해 창조경제벨트를 구축할 계획이다. 하지만 정부가 실질적인 지원을 해 주지 않으면 사상누각이 될 수밖에 없다.다행히 박근혜 대통령의 화답이 있었다.미래 신성장동력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고 청년 일자리 창출과 규제 개혁에 대한 강한 의지도 드러냈다. 지역 현안 사업에 대한 지원의사도 밝히는 등 침체 국면이었던 지역현안사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박근혜 대통령은 전국에서 처음으로 마련된 대구 창조경제 혁신센터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이끌며 다른 지역의 모범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대구의 경우 전국에서 가장 뛰어난 실적을 거양하고 있음을 박 대통령이 새삼 언급한 것이다. 하지만 대구국가산단과 테크노폴리스에 대해 구체적인 언급이 없었던 것은 아쉽다. 이 두 국책사업은 박근혜정부가 약속하고 키워 온 사업이다. 따라서 중앙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없으면 지금까지 해 온 사업이 도로무공이 되고 만다. 대구국가산단은 2단계사업에 들어가야 하지만 아직도 1단계사업에서 주춤거리고 있다. 중앙정부의 지원을 끌어 낼 후속조치가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