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9대 국회가 10일 마지막 국정감사에 나선다. 이번 국감은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있어서 여야 의원들간의 치열한 경쟁을 예고하고 있다. 국감일정은 오는 10-23일, 10월1-8일까지 ‘전·후반’으로 나눠 실시해 다른 때보다도 기간이 길다. 또 추석 연휴를 사이에 두고 열리는 만큼 추석민심을 점령하기 위한 기 싸움도 더욱 고조될 것으로 예상된다.문제는 각 정당과 국회의원이 저마다 총력전을 편 나머지 과열분위기 탓에 자칫 소모적 국감으로 흐를 우려가 크다는 점이다. 현재까지 정보위원회를 뺀 15개 상임위원회에서 확정한 피감기관이 708개이고 본회의가 의결한 71개까지 합하면 779개로 역대 최대 규모였던 지난해 672개를 크게 웃도는 그야말로 역대 최대 규모다. 기업인의 무차별 증인 채택과 기업인 길들이기, 호통 국감을 우려하는 것도 그 때문이다. 국정감사는 행정부 견제라는 국회 본연의 막중한 임무가 있지만 여야의 국감준비 작업을 보고 있으면 안심할 수 없는 분위기다. 현재까지 결정된 피감기관만 779개에 달해 지난해보다 100여개가 늘어난 최대 규모다. 기업 관련, 증인 채택을 놓고 여야 간 줄달이기를 벌이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 등 야당 측에서 요구하는 재계 대표급 인사만 해도 150명에 이른다고 하니 대한민국 경제계가 총출동한 느낌이다. 게다가 산업통상자원위 등 상임위별로 검토되고 있는 대상자까지 합하면 200명도 넘는다고 하니 대단한 규모다.걱정은 그 많은 증인들을 상대로 무엇을 얻으려고 하느냐다. 사회적 물의를 일으켰거나 범법행위로 국민적 지탄을 받았다면 재벌총수라도 불러서 진상을 밝히고 무섭게 질책하는 것이 국회의원들의 책무이겠지만 공연히 불러 놓고 망신을 주고 호통만 친다면 그런 국감은 안하느니만 못하다. 특히 내년 총선을 의식한 나머지 지역구민들에게 얼굴 알리기 용으로 오용될 우려가 크다.국정감사는 여야가 아니라 국민을 위해 존재한다. 군기잡기나 흠집 내기를 위한 국감이 아니라 국정의 골을 메우고 대안을 제시하는 국감이 돼야 한다. 일자리 창출과 서민가계 안정 등 민생에 보탬이 될 수 있는 국감이 되려면 여야 원내 지도부의 비상한 각오와 노력이 절실하다. 민생과 동떨어진 정쟁은 일절 삼간다는 신사협정이라도 맺었으면 한다. 19대 국회의 마지막 국정감사만큼은 지금껏 보여 왔던 구태를 벗고 민생국감 정책국감을 펴서 국민의 기대감을 충족시켜주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