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경북도교육청에서 열린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대구·경북·충북교육청 합동 국정감사에서 중·고교 한국사 국정교과서 문제가 이슈로 떠오른 가운데 우동기 대구교육감이 “국정교과서에 찬성하거나 반대하는 의견을 낸 적이 없으며 교육감의 입장을 밝히기 어렵다”고 주장했다.이날 우 교육감은 지난 9일 새정치민주연합 김태년 의원(성남 수정구)이 발표한 ‘시·도교육감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찬반논란’에서 자신의 의견으로 보도된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검정 절차를 따른 교과서가 필요하다”는 발언에 대해 “그와 관련한 의견을 낸 적 없다. 보도는 잘못된 것”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이에 대해 김태년 의원은 “당시 제출한 답변서를 보면 우 교육감은 검정 절차를 충분히 거쳐야 된다는 답변을 한 것으로 사실상 검정교과서가 좋다는 주장을 한 것”이라며 “감사 과정에서 위증의 문제가 있다”고 비판했다.우 교육감은 “교육감협의회가 당시 의견을 물었는데 답변을 제출하지 않았다”며 "교육감의 기본 업무도 이념적·정치적 편향성이 배제돼야 하는데 역사교과서의 이분법적 사고에 말려들어 찬반의견을 내는 것은 교육감으로서 적절하지 못하다”고 답변했다.이영우 경북교육감은 지난해 선거 전 역사교육정의실천연대에서 조사한 바와 다르게 국정화 교과서에 찬성한다는 의견을 냈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 교육감은 “2년 전 교학사 국사교과서 선택 과정을 보면서 생각이 바뀌었다”며 국정화를 해야 한다는 생각이 변함이 없다고 덧붙였다.이에 정의당 정진후 의원이 “역사교육정의실천연대의 조사는 지난해 선거를 앞두고 진행된 것이며 교학사 교과서 문제는 2013년 말부터 2014년 초까지 이뤄진 것”이라며 “이영우 교육감의 주장은 앞뒤 순서가 맞지 않는데 앞서 답변한 것이 허위가 아니냐"며 꼬집었다.이 교육감은 “그 당시에는 그렇게 생각을 했으나 최근 역사 교과서 문제에 대해 여러 고민을 하던 중 많은 조사를 거쳐 의견을 바꾸게 됐다”고 답변했다.한편 김병우 충북도교육감은 “역사에 정답이 없다면 특정한 시각을 정답으로 규정하는 단일 교과서보다 다양한 시각을 모범답안지로 하는 검정교과서가 더 맞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