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2년부터 폐교된 경북지역의 학교 수가 모두 670개로, 전국에서 2번째(전남 1위)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설훈(부천시 원미을) 의원은 14일 경북교육청에서 열린 경북교육청, 충북교육청, 대구교육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경북 지역 폐교 건수가 670개로 전국에서 2번째로 높다고 지적했다.설 의원은 현재 미활용 폐교 45곳 중 매각 예정인 19곳에 대해서도 매각 대신 마을공동체의 핵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활용방안을 강구해 줄 것을 경북교육청에 촉구했다.전국 폐교 현황 자료에 따르면 1982년 이후 전국에서 3627개교가 문을 닫았으며, 전남이 797개로 가장 많고, 경북 670개, 경남 544개, 강원 438개 등 순으로 나타났다.또 전국 3627개 폐교 중 매각했거나 매각 예정인 곳은 2439개(67.2%)로 집계됐다.이중 경북은 67.5%로 충남 83.8%, 전북 83.6%, 전남 81.8% 등에 비해 낮았지만, 전국 평균(67.2%)보다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설 의원은 “농·산·어촌 소규모 학교는 학생 수가 적어 문을 닫아야 한다는 것은 단순 경제 논리로만 접근한 근시안적 정책”이라며 “농·산·어촌 학교가 학생 수의 적음을 이유로 사라진다면 초고령화 사회가 되면 학교라는 것이 몇 개 남지 않게 될지도 모른다”고 지적했다.이어 “학교는 교육의 현장이면서도 특히 농어촌의 경우 마을 공동체를 유지시키고 마을을 지속가능하게 만드는 농어촌 네트워크의 핵심"이라며 “학교가 사라져갈수록 농어촌 마을의 황폐화는 더욱 가속될 것”이라고 덧붙였다.설 의원은 “폐교를 매각하는 대신 마을 공동체의 핵심 역할을 하도록 활용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