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내홍 조짐을 보이고 있다. 단초는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추진해온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에 친박(친박근혜)계 핵심이자 대통령 정무특보인 윤상현 의원이 ‘오픈프라이머리 불가론’을 거론하면서 시작됐다. 이후 친박계 좌장격인 서청원 최고위원도 “(오픈프라이머리에 대한) 입장을 분명히 하라”고 김 대표를 압박하고 나섰다. 게다가 당 ‘투톱’인 원내대표까지 18일 ‘오픈프라이머리 불가’ 입장을 밝히면서 김 대표는 점점 코너로 몰리는 형국이다. 이에 대해 비박근혜계는 ‘김무성 흔들기’라며 반발하는 등 새누리당이 또다시 양분될 위기를 맞고 있는 것이다.김 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노력을 하는 데까지 해보고 도저히 못한다는 결론이 나오게 되면 당에 또 공식기구를 만들어 다시 논의를 시작하겠다”고 말했다. 여야 동시 도입이 최종 무산될 경우 대안 추진 가능성을 열어둔 셈이다. 김 대표는 다만 “공천권 싸움이 여당에도 시작되는 것처럼 국민들에게 비치는 것은 옳지 못하다”고도 했다. 여권 내에선 최근 일련의 과정이 ‘유승민 전 원내대표 찍어내기 파동’의 판박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어서 주목된다. ‘친박 정무특보의 깃발 들기-친박 최고위원들의 공격-온건파 친박·무계파 가담’의 행보가 심상치 않고 게다가 8명으로 구성된 당 최고위원회는 친박계나 청와대와 주파수를 맞춰온 최고위원들이 다수를 점하고 있어 이들이 집단행동에 나설 경우 ‘김무성 체제’는 쉽게 허물어질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오픈프라이머리를 둘러싼 친박계와 비박계의 갈등 이면에는 내년 총선 공천권 문제가 자리하고 있어서 언제든 양측의 전면전으로 비화할 가능성이 크다. 한마디로 치졸한 공천권 다툼인 것이다. 새정치연합의 혁신 갈등도 따지고 보면 공천권을 둘러싼 친노무현계와 비노계 간 주도권 쟁탈전인 것처럼 여당 내 논쟁도 내년 총선에서 누가 공천권을 쥘 것이냐의 속 들여다보이는 권력 싸움에 지나지 않는다. 박근혜 대통령은 얼마 전 “산을 오르다 보면 마지막 한고비, 흔히 깔딱 고개라고 한다”며 현재의 힘든 사정을 이 깔딱 고개에 비유한바 있다. 지금이 그런 위중한 시기다. 총선이 반년도 더 남아 있는 지금 공천 룰을 가지고 다툴 일이 아니다. ‘김무성 흔들기’가 목적이 아니라면 당을 양분시키는 일을 즉각 중지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