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새누리당 황인자 의원이 국민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전국 소방서 설치 현황’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전국에서 소방서가 없는 지자체는 전국적으로 40곳에 달했다. 대구광역시에도 남구에는 소방서가 없다. 남구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이웃 소방서에서 출동하는 형태다. 경상북도에는 소방서가 없는 시-군이 무려 7곳이나 된다. 군위, 청송, 영양, 청도, 예천, 봉화, 울릉군이다. 기초단체 및 시-도의 적극적 설치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다행히 울릉 봉화 예천 청도 군위 등 5개 군은 설치가 추진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영양, 청송 두 곳은 아예 설치할 생각도 않고 있다 하니 큰일이다. 재정 여건이 턱없이 부족하고 인구, 수요부족도 조건에 미달된 때문이라고 하지만 산세가 험하고 교통이 불편한 이들 두 곳의 대형화재 등을 이웃 시-군에 맡겨서 될 일인지 생각하게 된다.특히 주목되는 것은 전국 기초지자체 중 소방서 없는 곳이 40곳인데 6분의 1이 넘는 17.5%가 경북에 몰려 있다는 놀라운 사실이다. 지방자치제가 시작된지 20년인데 겉으로 보이는 화려한 전시성사업에만 몰두한 나머지 외관상 빛이 나지 않는 소방시설에는 무관심했던 것이다.소방서가 없는 지역에는 119안전센터가 설치된다. 119안전센터는 각 관할 지역의 소방 업무를 일차적으로 처리하는 곳으로 대부분 구급차 1대, 소방차 1대 정도를 갖추고 운영한다. 반면 소방서는 화재 진압, 인명 구조뿐 아니라 소방 관련 위험물 점검, 음식점 등 허가 시 소방 관련 인허가 업무 등도 처리한다. 소방서가 없는 지역의 주민들은 화재 및 긴급 상황에 대한 불안감과 함께, 민원 처리에 불편을 겪는 이중고를 감수해야 한다.화재 등 긴급 재난이나 사고는 결국 초기에 얼마나 빨리 대응하느냐가 관건이다. 따라서 당연히 기초단체마다 소방서가 설치될 수 있도록 노력해 사고 상황에 신속히 대응하고, 주민들이 안전과 관련된 민원 업무에 불편을 겪지 않도록 해야 한다. 단체장들은 지역축제 과다 개최, 치적용·선심성 예산에 관심을 쏟지 말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위한 안전 예산부터 챙길 필요가 있다. 소방의 문제는 비단 자치단체만의 책임이 아니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각 기초단체에 소방서가 설치될 수 있도록 소방 예산을 우선적으로 확보해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