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는 전국 자치단체의 소규모 행사·축제 예산도 낱낱이 공개된다. 행정자치부는 지난해 지자체의 행사·축제에 대한 전수조사 결과를 22일 공개하면서 이 같이 밝혔다. 지난 2013년부터 지자체의 행사·축제의 원가 정보를 공개해 왔으나 그 기준을 광역단체는 5000만 원 이상, 기초단체는 1000만 원 이상으로 정한 탓에 소규모 사업인 경우 경비 지출 내역을 알 길이 없었다. 지자체는 이러한 허점을 노려 국고를 축내는 소규모의 ‘전시성’ 유사·중복 행사나 축제를 남발한다는 지적이 많았다. 이에 따라 행자부가 광역단체의 5000만원 미만, 기초단체의 1000만원 미만 행사·축제 전수조사 결과까지 공개하는 카드를 꺼낸 것이다. 전수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지자체 행사·축제 개최 건수는 1만4604건에 달했다. 전년도에 비해 23% 증가한 수치다. 공개 기준에 포함되지 않은 소규모 행사·축제가 약 50% 늘어난 영향이다. 반면 3억원 이상의 대형 행사·축제 건수는 9.9% 줄었다. 지역별로는 울산(13건)과 충남(64건)을 제외한 15개 시·도에서 개최 건수가 모두 증가했다. 제주가 지난해 623건의 행사·축제를 개최해 가장 많았고, 강원도 563건이나 됐다. 뒤이어 전남(323건), 경기(240건), 경북(233건), 전북(222건), 경남(133건), 충북(129건), 서울(101건), 인천(59건), 세종·광주(각 56건씩) 등의 순이었다. 예산 집행액은 8개 시도에서 509억여 원이 늘고, 9개 시도에서 총 1689억원이 줄어들었다. 강원도(217억원)가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와 전국생활체육대축전 등 신규행사 개최 여파로 가장 많이 증가했고, 제주(123억원)가 그 뒤를 이었다. 인천(51억원), 부산·광주(각 45억원씩), 전북(15억원), 세종(10억원), 울산(3억원) 등도 전년보다 크게 불어났다. 반면 전남은 적자가 누적된 ‘F1 코리아 그랑프리’를 지난해 열지 않아 489억원이 감소했다. 자체적으로 유사 축제의 통폐합을 추진한 경남도 451억원이 줄었다. 그밖에 경기(-202억원), 경북(-199억원), 충북(-187억원) 등에서도 행사·축제에 집행된 예산이 감소했다. 각 지자체는 오는 10월 말까지 지난해 개최한 행사·축제의 원가 정보를 작성해 공개해야 한다. 행자부는 11월중 3억원(광역은 5억) 이상의 전년도 지방 행사·축제 원가 정보를 재정고(lofin.mogaha.go.kr)에 통합 공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