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국제영화제(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BIFF)의 글로벌 홍보 전략으로 ‘K-POP’이 유용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7일 영남대에 따르면 최근 이 대학 대학원 동아시아문화학과 장아름(27·석사 4기), 박지영(31·박사 4기)씨와 박한우 영남대 언론정보학과 교수가 ‘트위터 데이터를 활용한 부산국제영화제의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분석’ 연구결과를 발표했다.연구진은 노드엑셀(NodeXL)이라는 빅데이터 분석 도구를 사용해 BIFF와 관련된 트위터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한 결과, K-POP 아이돌의 팬들이 BIFF에 대한 주요 정보제공자와 중개자 역할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한 국가별 BIFF 관련 트위터 사용자 분포와 K-POP 확산도가 통계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K-POP과 한류 스타를 매개로 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홍보 전략이 BIFF 홍보에 있어 유용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의 트위터 계정까지 데이터에 포함해 연구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대표 국제영화제인 BIFF의 글로벌 홍보방안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실제 BIFF는 트위터에 공식계정을 만들어 SNS 홍보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영화제 기간 동안 진행되는 행사의 내용과 일정을 홍보하고, 사람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연구진은 트위터 상의 BIFF 관련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를 분석하기 위해 구글 트렌드를 통한 사전조사에서 총 5개의 검색어(#Busan, #Pusan, #BIFF2014, #BIFF, #부산국제영화제)를 선정해 트위터에서 2014년 부산국제영화제 데이터를 수집했다. 연구진은 지난해 부산국제영화제 기간(10월2-11일)과 영화제 폐막 후 일주(10월12-18일) 동안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했다.분석 결과, 전 세계 69개국에서 BIFF 관련 트위터 네트워크가 확인됐다. 특히 국가 위치를 확인할 수 없는 익명집단을 제외하면 한국이 아닌 태국에서 가장 많은 트위터 사용자가 확인됐다. 당시 BIFF에 소개된 한국영화 ‘카트’에 엑소 멤버인 ‘디오(본명 도경수)’가 출연하면서 그의 BIFF 참석으로 인한 해당 아이디가 BIFF의 정보제공자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됐다.한편 영남대 연구진이 발표한 이번 논문은 한국자료분석학회에서 발간하는 학술지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17권 제2호에 게재됐다. 논문의 저자인 장아름·박지영씨는 학과간 협동과정인 ‘BK21플러스 글로컬 동아시아 문화콘텐츠 특화전문 인재양성 사업단’ 소속이다. 2015년 부산국제영화제 기간 중 이번 연구에 제1저자로 참여한 장아름씨는 오는 8일 부산 동서대 센텀캠퍼스에서 진행되는 한국연구재단 주관의 ‘2015년도 인문·사회과학 우수성과 교류회’에서 이번 연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