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가 선거 획정안을 놓고 밥그릇 전쟁에 돌입했다.12일 여야 농어촌 의원들은 ‘결사항전’을 불사하겠다는 결의를 다져 국회가 살얼음판을 걸어가는 기분이다.인구비례의 선거구 획정에 따라 선거구가 통·폐합될 위기에 놓인 여야 의원들은 각종 시위와 집단 모임 등을 갖고 농어촌 지역구 사수에 안간힘을 썼다.새누리당 대구·경북 의원들은 이날 오전 여의도 한 호텔에서 조찬 회동을 하고 선거구 관련 대책을 모색했다. 이 회동은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인 이병석 의원(포항시 북구)이 주재했다.영주에 지역구를 둔 장윤석 의원은 “인구 비례로 선거구를 획정하라는 헌법재판소 결정을 따르면 인구가 적은 농어촌 지역은 지역 대표성에 심각한 훼손을 입는다”고 주장했다.19대 국회 임기도 얼마 남지 않았다.6개월 후면 20대 국회의원 총선거가 열린다.바야흐로 총선정국이다. 그러나 헌법재판소발로 시작된 지역구 의석수 변경이 여야를 가지지 않고 농어촌지역 의원들의 반발로 지역구가 획정되지 못하고 있다. 선거에 출마할 후보자들은 선거가 6개월밖에 남지 않았지만 내 지역구가 어딘지조차 모르고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다. 여야불문하고 공천룰 때문에 곤욕을 치르고 있다. 공천룰 변경을 놓고 여야 뿐 아니라 지금은 한발을 뺐지만 청와대까지 가세하며 끝내 권력투쟁으로 번지고 있다.집권여당인 새누리당의 경우 당 대표인 김무성 대표측과 친박계의 충돌은 위험수준을 넘어서고 있다. 최고위원회의가 공천 방식을 논의할 특별기구 구성결정권을 위임받았지만 김무성 대표와 원유철 원내대표, 서청원 최고위원 등 3인에게 그 권한을 넘겼을 뿐 그 이후에도 가시적인 결과는 없다. 공천룰 갈등은 차기 대선과 관련돼 있어 권력투쟁적 성격을 띠고 있다. 복잡한 함수나 방정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국민의 눈높이에는 ‘밥그릇 싸움’일 수밖에 없다.한국갤럽이 전국 13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국회의원 가운데 현역이 아닌 다른 사람으로 당선·교체됐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반대의견보다 2배에 달했다.대구·경북 지역의 경우 3배에 달했다. 대구·경북 현역 국회의원 중에는 20대 총선에서 새누리당 명패를 들고 나와도 낙선할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국회의원 선거는 국민의 뜻을 묻는 선거다. 여야 모두 ‘현역의원 물갈이론’이 나올만큼 우리 국회는 국민의 사랑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주겠다는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의 의지나, 20% 전략공천을 당론으로 세운 새정치민주연합의 선거전략이나, 이를 놓고 옳다 그르다를 따질 것은 아니다. 다만 국민은 좀더 신선한 국회를 바라고 있다는 것을 정치권은 정파적 이해득실에서 벗어나 마음깊이 새겨야 할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