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교육청은 14일 중학교 교감 및 3학년 부장교사, 전기고(28개교) 교감 및 고입업무담당 부장교사를 대상으로 ‘2016학년도 전기고등학교 입학전형 요강 및 업무처리지침 전달회의’를 대구교육연구정보원에서 개최한다.전기고등학교에는 특수목적고등학교(대구일과학고, 대구체육고, 경북기계공고, 대구일마이스터고, 달성정보고, 경북예술고, 대구외국어고), 자율형 사립고(경신고, 경일여고, 계성고, 대건고), 특성화고(대구자연과학고 외 15개교), 대안특성화고(달구벌고)가 해당되며, 입학 전형은 당해 학교장이 실시한다.전기고등학교는 교육감이 승인한 학교별 입학 전형 실시 계획에 의해 선발하는데 대구일과학고, 대구외국어고, 자율형 사립고는 ‘자기주도 학습전형(학교생활기록부, 교원추천서, 실기 시험 등)’으로 학생을 선발하며, 특성화고(달구벌고 제외)는 취업희망자전형과 석차백분율 순위로 선발하는 일반전형으로 나눠 실시한다. 특수목적고, 자율형 사립고, 달구벌고에 지원하고자 하는 학생은 26일부터 11월 23일)까지 해당 학교의 원서접수 일정에 따라 지원해야 한다. 특성화고의 취업희망자전형은 11월 19, 20일, 일반전형은 11월 30일-12월 1일 사이에 출신 중학교에서 원서를 작성, 해당 학교에 일괄 접수하게 된다.전기고는 1개교만 지원할 수 있으며 불합격이 확인돼도 타 전기학교에 지원할 수 없으나, 마이스터고에 지원해 불합격이 확인된 자는 전기학교의 특성화고(달구벌고 제외) 취업희망자 특별전형에 다시 지원할 수 있고, 특성화고 취업희망자 특별전형에 지원해 불합격이 확인된 자는 특성화고 일반전형에 다시 지원할 수 있다. 합격이 된 학생이 입학을 포기할 경우에는 당해 연도에 다른 학교 지원이나 입학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한 지원이 필요하다.대구시교육청 관계자는 “산하 중학교에서는 전기고등학교 입학 전형 요강을 정확히 숙지해 지원자들이 희망하는 학교에 지원할 수 있도록 하고, 전기고등학교에서는 신입생 선발 절차 및 규정을 준수, 입학 업무를 처리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