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비로 고생하는 개들이 많아졌다.변비는 최근 개들이 앓고 있는 현대병 가운데 하나이다. 과거 된장국에 시래기를 말아줘도 개들이 군소리 없이 잘 크던 시절엔 식물성 섬유소 섭취로 변비 걱정이 없었다. 그러나 요즘엔 동물성 위주의 고영양가 사료가 일반화되면서 개들이 괴로워지고 있다.개는 보통 하루 1, 2회 배변을 해야 정상이다. 변비의 경우 3, 4일 이상씩 ‘무소식’이기 일쑤여서 육체적, 심리적인 이상을 초래한다.변비 상태의 개는 낑낑대며 불안, 초조, 안절부절 못하는 태도를 보이며 행동도 엉거주춤해진다. 평소에 의젓하고 얌전하던 동물 식구도 변비에 시달리면 품위와 체면을 잃게 된다. 하지만 이보다 더한 것은 육체적인 이상으로 변이 딱딱해지고 배변 횟수가 줄어드는 변비를 그냥 방치할 경우 결장 전체가 확장되는 속발성 거대결장을 비롯해 항문선염, 직장협착, 직장종양 등 직장 질병을 일으키게 된다는 점이다.지방분이 듬뿍 든 동물성 사료 외에도 생선뼈, 닭뼈 등 칼슘 성분 과다 섭취가 원인이 되며 항히스타민 바륨, 이뇨제, 아편 등의 약물 투여 시에도 변비가 온다.이 밖에 요크셔테리어, 몰티즈, 포메라니안 등 장모종 개들의 긴 털이 항문을 막아버릴 수도 있으며 사람과 마찬가지로 지나치게 감이나 곶감을 많이 먹어 일시적인 변비를 일으키는 웃지 못할 경우도 가끔 있다.야채, 과일 등 식물성 섬유소 성분을 사료에 섞어 개의 장 운동을 도와주는 게 평소 예방책이다. 닭뼈, 생선뼈, 딱딱한 갈비뼈 등을 주는 것은 금물이며 포메라니안, 요크셔테리어, 몰티즈 등 장모종의 개들은 항문 주의의 털을 잘라주면 변비 예방은 물론 청결에도 좋다.증세가 심할 경우 온수, 식염수, 유아용 관장약 등으로 직접 관장을 시켜주거나 동물의사에게 처리를 부탁해야 한다. 동물의사 처방식으로는 유카누바 인테스티날, 힐스 I/d, 로얄케닌 인테스티날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