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 간의 3각 릴레이 정상외교를 통해 동북아 핵심 3개국의 협력체제를 복원키로 하는 등 성과를 올렸다. ◇한·일·중 협력복원 첫 걸음 뗐다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 리 총리는 지난 1일 청와대에서 열린 3국 정상회의에서 3국 협력체제의 완전한 복원을 한 목소리로 강조했다. ‘역사를 직시하며 미래를 향해 나아간다는 정신을 바탕으로’라는 단서를 달긴 했지만 3국 협력체제 복원을 위한 첫 걸음을 뗀 것으로 볼 수 있다.한·일·중 정상은 ‘동북아 평화협력을 위한 공동선언’을 채택하는 등 3국 협력을 정상화하고 경제적 상호의존과 정치안보 갈등이 병존하는 모순을 극복하자고 합의했다. 환경 및 교육 등 사회분야를 포함해 모두 5개 분야에서의 협력을 강화키로 뜻을 모은 것은 3국간 협력 확대의 기반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역사’ 언급 없는 日…3국 과거사 시각차그러나 한·일·중 정상은 역사인식 문제와 관련해 여전히 시각차를 보이며며 관계 개선의 한계를 드러내기도 했다. 한·중 정상이 3국 협력 복원의 전제로 분명한 역사 인식을 거론했다.반면 일본은 역사와 관련한 언급 자체를 피한 것이다.당사국 간에 민감한 현안인 역사 문제에 있어 일본이 진전된 태도를 보이지 않으면서 3국 협력 분위기가 성숙되는데 암초로 작용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위안부 문제 ‘진전’ 있었지만3년 6개월만에 열린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의 한·일 정상회담에서도 위안부 문제는 여지 없이 숙제로 남았다. 양국이 조기에 위안부 문제를 타결하기 위해 양국이 교섭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는 성과를 남겼지만 사과나 보상에 관한 구체적 약속은 없었던 것이다.특히 ‘타결’의 의미를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앞으로 진행될 교섭의 성패가 갈릴 것으로 보인다. 협의 주체와 해결 기한 등에 관한 구체적 언급이 없어 ‘조속한 해결’이 쉽지만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