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비전포럼은 12일 낮 대구 그랜드호텔에서 ‘왜 역사 교과서 정상화인가’를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열었다.토론회에는 김문수 새누리당 수성갑 당협위원장, 안병직 서울대 명예교수, 조향래 매일신문 논설위원, 원도혁 영남일보 교육인재개발원장 등이 참석했다.김문수 위원장은 축사에서 “언젠가부터 국사 교육은 필수가 아닌 선택이 되었고 자기부정과 자학 사관이 주류를 차지하고 있다”면서 “한국인이 가진 불굴의 도전정신과 뜨거운 사랑, 긍정 에너지라면 우리가 겪는 위기를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상임고문은 기조 발제문을 통해 “극좌적 민중사관, 계급사관에 기초한 역사교육이 중고교에서 확대 재생산되고 사회 각계각층에 확산해 있다”라고 주장했다.그는 또 “지금 현실에서 검인정으로는 극좌 편향의 민중사관을 넘어 자유주의적인 균형사관에 기초한 친대한민국적 교과서를 만들 수 없다”면서 “국정화는 불가피한 선택이고 일종의 긴급피난이다”라고 강조했다.안병직 명예교수는 “현 역사교과서들은 한국 근현대사의 기본 율동을 담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바꿔야 한다”면서 “좌파든 우파든 우리 역사의 기본 율동을 제대로 파악해 당면한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조향래 논설위원은 “대한민국 사회 자체를 부정하는 좌파적 역사관 주입을 좌시할 수 없는 것처럼 극우적인 시각에서 보수집단의 역사관을 무조건 옹호하는 것 또한, 곤란하다”고 강조했다.원도혁 원장은 “한국사 교과서 논란을 접하는 국민의 체감온도가 제각각이라는 데 문제가 있다”면서 “전 국민의 공감대를 얻어내야 한다고 본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