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총선 예비후보 등록이 시작된 가운데 대구경북 일부 예비후보자들의 전과 기록을 놓고 논란이 분분하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예비후보자 등록 현황 자료에 따르면 16일 현재 대구지역에 등록한 예비후보자 30명 중 12명의 후보자가 전과 기록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고 경북지역은 28명 중 8명의 후보자가 전과 기록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번이라도 전과 기록이 있는 사람은 세 명 중 한 명꼴이다. 민주화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처벌 받은 시국 사범도 있지만 조세범처벌법위반, 부정수표단속법위반 범죄 경력자도 포함돼 있고 음주운전은 부지기수다. 이처럼 예비후보자의 전과가 1건에서 많게는 6건에 이르고 있고 음주운전으로 몇 차례씩 처벌받은 사실이 드러나 국회의원의 자질이 이래서야 되느냐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국회가 청문회를 통해 사회적 물의가 되는 작은 요소라도 철저하게 검증하면서 정작 비리 전력자를 공천하는 전례를 수없이 목격해왔다. 이는 그만큼 여야정치권 후보들의 전과여부가 일반화돼 있어 이를 거를 장치가 없음을 반증한다. 현행 선거법은 후보자 등록 과정에서 전과자를 걸러내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유권자는 전과자인 줄 모른 채 투표하고, 당선된 의원들은 ‘면죄부’를 받은 것으로 여기는 것이 일반적 풍조다. 이런 후보들일 수록 상대후보에 대해 흑색선전을 일삼고, 중앙당도 하지 못할 사업을 공약으로 내거는 등 당선을 위해서라면 불법-탈법도 가리지 않는다. 정당공천제라면 당연히 이런 후보들에 대한 책임을 정당이 책임지고 걸러내야 한다. 하지만 공천과정에서 흠결 있는 후보를 모두 가려낼 것이라고 기대할 수 없다. 흠결이 있더라도 이해관계에 따라 묵인하는 경우가 많고 실상 어느 누구도 떳떳이 후보들의 전과를 들어 공천에서 제외할 명분이 없기 때문이다.결국 유권자들이 제대로 선택하는 수밖에 없다. 말로만 정치를 비난하며 선거 때에는 지연·학연에 얽혀 표를 던지면 후진적인 정치문화는 바꿀 수 없다. 선관위 홈페이지나 선거 공보물의 후보자 신상 기록을 꼼꼼히 살펴 투표로 심판해야 한다. 음주운전상습범과 세금체납자가 당선된다면 이들의 전과나 체납을 용서하는 꼴이 되기 때문에 절대로 있어서는 안 된다. 유권자들이 정신을 차리고 후보를 검증해야 하는 이유다. 무자격자에게 표를 주지 않도록 유권자들이 눈을 부릅뜨고 살펴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