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공사(이하 공사)가 비정규직 1만명을 연내 정규직으로 전환을 추진한 지 어느덧 100일이 지났다. 문재인 대통령의 취임 후 1호 약속인 정규직화는 국민적 관심이 뜨겁다.그러나 정규직화를 둘러싸고 공사는 강행으로 일관하고, 협력사 양대 노조는 불협화음을 내고 있어 진행이 순탄치 않은 실정이다.지난 5월 12일 문재인 대통령이 인천공항을 다녀간 후 공사는 정규직 전환을 위한 테스크 포스(TF)를 구성하고 협력사 노조인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무상급단체 등과 각각 상견례를 가졌다.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 금방이라도 정규직 전환이 현실로 다가오는 듯했다.하지만 공사는 노조와 협의 없이 ‘좋은 일자리 창출 전략 및 실행방안 수립용역’을 강행 발주했다. 이 용역은 연구 기간만 6개월로 자칫 올해를 넘길 수 있다.노조는 “노·사 협의 없이 강행한 정규직화 연구용역은 공사를 위한 정규직화 방안일 뿐”이라고 반발했다. 정부는 공공부문에 적용할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을 지난달 20일 발표했다. 정부가 제시한 고용방식으로는 △직접 고용 방식 △자회사를 통한 고용 △무기계약직 등 크게 3가지이다.노조는 ‘공사의 직접고용’ 방식을 주장하고 있고, 공사는 ‘자회사를 통한 고용’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지난 11일 정일영 사장은 제1·2여객터미널 업무를 담당하기로 한 협력사 23곳에 대해 제2터미널의 업무는 제외하는 것으로 계약변경을 검토하라는 지시를 계약 담당부서에 내렸다.공사는 협력사 계약변경을 통해 제2여객터미널에서 근무하게 될 인력 1800여명을 이달 초 자본금 10억원을 들여 설립중인 인천공항운영관리㈜에서 선발한다는 계획이다.그러나 협력사와 노조의 거센 반발에 부닥쳐 계약변경은 곧 중단됐다.노사협의를 강조하는 노조 역시 노·사·전문가 위원회 구성을 놓고 한동안 갈등을 빚었다.정부가 발표한 가이드라인에 따라 양대 노총은 노·사·전문가 위원회 구성을 협의하며 참여 비율을 두고 진통을 겪었다. 4차례 협의 끝에 민주노총 5명, 한국노총 3명, 무상급노조 2명으로 뒤늦게 합의를 봤다. 이 같은 여러 현실적 상황들을 고려할 때 연내 정규직 전환은 무리라는 주장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연내 완료에 무리하게 집착하지 않되, 그간의 시행착오를 발판 삼아 노사가 상호 굳건한 신뢰와 인내심으로 정규직화의 합리적인 기틀을 마련하기를 기대한다. 지난 100일간의 이견과 갈등이 적지 않았겠지만, 비온 뒤에 땅이 더 굳는 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