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지지도가 지난주보다 3.6% 하락한 48.4%를 기록해 취임 후 최저치를 나타냈다.또한 집권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9주 연속 하락한 38.0%로 주간 집계단위로 집권 후 최저치로 떨어졌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3일 나왔다.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YTN 의뢰해 지난달 26일부터 5일간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2천513명을 대상으로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2.0%포인트)한 결과,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대한 긍정평가가 이 같이 집계됐다.문 대통령에 대한 부정평가는 4.1%포인트 오른 46.6%로 긍정평가와 부정평가의 격차는 오차범위(±2.0%포인트) 내인 1.8%포인트로 나타났다.지역. 연령대별로는 광주·전라(호남)·서울, 대전·세종·충청(충청권), 40대, 30대, 20대, 사무직과 학생, 노동직, 진보층에서는 긍정평가가 부정평가보다 높게 조사됐다.반면 대구·경북(TK)과 부산·울산·경남(PK), 경기·인천, 60대·50대, 자영업, 주부, 무직, 보수층과 중도층 등에서는 부정평가가 긍정평가를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TK(긍정평가 34.2%/부정평가 59.6%), 60대 이상(36.7%/57.9%), 자영업(37.8%/59.8%) 등에서 부정평가와 긍정평가의 격차가 20%포인트 이상 차이를 보였다.리얼미터 관계자는 “지지율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는 경제 어려움, 한반도 비핵화 교착 상황, ‘혜경궁 김씨’ 문제에 휘말린 이재명 경기지사 논란을 꼽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지역별로 보면 광주·전라(67.0%·11.8%p↓), 경기·인천(48.0%·6.4%p↓), 대전·세종·충청(48.3%·5.0%p↓), 부산·울산·경남(39.4%·1.9%p↓) 순으로 하락했다.연령별로 살펴보면 50대(38.2%·6.4%p↓), 60대 이상(36.7%·5.5%p↓), 20대(55.0%·3.1%p↓), 30대(57.7%·1.7%p↓)에서 하락했다.정당별 지지도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1.2%p 내린 38.0%로 9주 연속 하락해 작년 1월 4주 차(34.5%) 이후 약 1년 10개월 만에 가장 낮은 지지율을 기록했다.반면, 자유한국당은 26.4%(3.5%p↑)로 5주 연속 상승했다. ‘최순실 태블릿PC’ 사건 직전인 재작년 10월 3주 차(29.6%) 이후 약 2년 만에 처음으로 25% 선을 넘어섰다.정의당의 지지율은 1.0%p 내린 7.8%이었고, 바른미래당은 6.6%(0.6%p↑), 민주평화당은 2.6%(0.4%p↑)의 지지율을 나타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