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구미시가 내년 예산에 폐지된 관사를 다시 부활시키기 위해 예산을 편성하자 비난여론이 일고 있는 가운데 대구지역 시민단체가 대구시의 관사 예산 철회를 촉구하고 나섰다.4일 우리복지시민연합에 따르면 대구지역 시민단체들은 지난 8월 지방자치제도가 시행된 지 23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낡은 유물인 관사를 존속하고 있는 대구시에 대해 관사제도를 폐지할 것을 촉구했다. 하지만 대구시는 내년 예산에 관사관리비로 시장, 부시장 2명 등 총 3곳에 월 30만원씩 1080만원을 올해처럼 그대로 편성했다. 대구시 관사현황은 1급 관사 1채(대구시장), 2급 관사 3채(행정·경제부시장, 국제관계대사), 3급 관사 10채(기획조정실장, 소방안전본부장, 서울본부장 등) 등 총 14채의 아파트가 있다. 1급 관사 1채(2016년 1월), 2급 관사 2채(각각 2017년, 2018년 1월), 3급 관사 2채(2013년 1월, 2015년 10월)는 매입했고 2급 1채, 3급 8채는 임차다. 관사 5채 아파트 매입으로 총 23억7800만원의 세금이 들어갔고 임차 아파트 9채는 보증금 총 3억1500만원에 연간 월세 총 1억2420만원의 시민 세금이 쓰였다. 우리복지시민연합은 성명을 통해 “주거문제로 힘겹게 살아가는 청년과 빈곤층을 생각한다면 대구시는 관사 폐지를 약속해야 한다”며 “대구시의회도 대구시의 부적절한 관사운영 예산을 전액 삭감할 것”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