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포항 지진의 발단이 된 지열발전소의 부지 원상 복구를 위해 전문가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본격적인 검토 조사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8일 오전 서울 무역보험공사에서 ‘포항 지열발전 부지안전성 검토 전문가 TF’ 출범식을 갖고 1차 회의를 연다고 밝혔다.TF는 고도의 전문성과 지역 의견을 함께 반영할 수 있도록 국내외 전문가, 시민대표 14명과 TF가 추천하는 해외석학으로 구성된다. 전문가의 경우 대한지질학회에서 추천한 지진·지질·지하수·시추공학 분야 전문가 5명, 한국자원공학회에서 추천한 암반공학·시추 분야 전문가 2인이 참여한다. 시민대표는 포항시의회 의원, 시민활동가 등 포항시가 추천한 6명으로 구성됐다. 지열발전 위험성을 제기했던 이진한 고려대 교수와 김광희 부산대 교수도 포함됐다. TF 위원장은 ‘포항지진 정부조사연구단’ 단장을 역임한 서울대 이강근 교수(지구환경과학부)가 맡기로 했다. TF는 1차 회의에서 저명한 해외석학이 추천되면 초빙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날 1차 회의에선 앞으로의 활동 방향과 계획을 논의하고, 전공 분야별로 실무분석팀 구성·운영 등을 확정 짓는다. 실무분석팀은 지진, 지하수, 지중응력 등 다양한 안전성 저해 요인과 부지 안전 관리와의 상관성 등을 전문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올해 추가경정예산안에 반영된 심부지진계, 지하수 모니터링 시스템 등(총 10억원) 운용 방안도 앞으로 논의된다. 포항시민들의 알권리 차원에서 지진 관측결과 등을 공개하면서 시민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포항 지열발전 부지 안전관리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도 마련할 방침이다. 산업부는 “TF는 6개월간 운영할 계획이며 위원들의 전문적인 판단에 따라 활동기간의 연장 또는 단축할 수 있다”며 “활동기간 중 조속한 조치가 필요한 사안들은 수시로 정부에 권고하고, 활동설명회 등을 통해 시민들과도 적극적으로 소통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지난 2017년 11월 포항에서 발생한 규모 5.4의 지진이 인근 지열발전소가 원인이라는 의혹이 제기되자 국내외 전문가로 구성된 정부조사단을 구성해 약 1년간 정밀조사를 진행했다.이후 지열발전을 위해 주입한 고압의 물이 알려지지 않은 단층대를 활성화해 포항 지진 본진을 촉발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자 정부는 지열발전 상용화 사업을 영구 중단했다.지열발전 사업 부지는 전문가와 협의해 최대한 안전성이 확보되는 방식으로 원상 복구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