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팔공산에 구름다리를 건설하는 계획이 올해 대구시민원탁회의의 첫 의제에 올라 찬성 쪽으로 무게가 쏠렸지만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구름다리 건설을 반대하고 있는 대구환경운동연합, 대구경실련 등 시민단체가 원탁회의에 불참해 논란의 불씨가 꺼지지 않아서다.18일 대구시에 따르면 지난 16일 엑스코(EXCO)에서 열린 ‘보존인가 개발인가, 시민에게 듣는다. 팔공산 구름다리’를 주제로 한 올해 첫 시민원탁회의에서 참석 시민 60.7%가 건설에 찬성했다.반대는 31.5%, 유보는 7.7%였다.시민들은 찬성 이유로 △구름다리~케이블카를 연계한 다양한 관광자원 개발 가능 △관광 약자의 접근성 개선 △일자리 창출 등 시민 수익 창출 △대구 대표 관광 자원화 등을 꼽았다.반대하는 쪽은 △생태 관광 트렌드 역행 △국립공원 지정 노력 우선 △투자 대비 적은 이익 △민간업체 특혜 우려 등을 들었다.찬성 측 여론이 우세하자 대구시가 추진 중인 팔공산 구름다리 건설이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이지만 “이날 회의 결과가 대표성을 가졌는지 의문”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구름다리 조성에 반대하는 시민단체 측이 참석을 거부하면서 당초 참석 예정 인원 367명 가운데 183명만 회의에 참석했다.또 일부 회의 참석자가 중도에 이탈해 투표 참여자는 168명에 그쳤다.대구 환경단체 관계자는 “팔공산 구름다리 설치 계획은 불통·퇴행 행정의 표본”이라며 “시민원탁회의라는 보여주기식 형식적 절차에 따라 도출된 의견이어서 대표성을 띌 수 없다”고 주장했다.그러면서 “구름다리 설치는 팔공산의 경관과 생태계를 파괴할뿐 아니라 막개발과 인근의 개발 경쟁을 유발해 국립공원 지정을 더욱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이와 관련 대구시는 “시민들의 숙의로 도출된 결과이며 정당한 공론화 절차를 거쳤다”며 “건설을 반대하는 일부 시민을 설득하는 과정을 거쳐 팔공산 구름다리를 대구의 명소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