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는 3월부터 석유 생산량을 하루 50만 배럴 씩 줄일 방침이라고 10일 발표했다.  이에 국제 기준 브렌트 유가가 이날 런던 시장서 2.3% 올라 배럴당 86.65달러에 거래됐다.  러시아는 원유를 지난해 우크라이나 침공 전에는 하루 1100만 배럴을 생산했으며 서방의 경제 제재 후에도 대규모 감산 예상과는 달리 평균 1070만 배럴의 산유량을 보였다.  올 1월에는 1090만 배럴로 조금 늘었다. 러시아 산유량은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이며 러시아는 하루 산유량 중 700만 배럴 이상을 수출해 사우디아라비아와 선두를 다투고 있다.  러시아는 원유 외에 정제한 석유 제품인 디젤유 등 정유를 하루 200만배럴 가까이 수출하고 있다. 전세계의 하루 석유 수요량은 1억 배럴이며 이 중 4000만 배럴을 러시아와 사우디가 주도하는 오펙(OPEC) 플러스가 수출 공급하고 있다. 4000만 배럴 중 러시아 비중이 800~900만 배럴을 차지하는 것이다. 러시아가 3월부터 50만 배럴을 감산하면 수출량도 그만큼 줄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 석유 수출은 지난해 말부터 서방 제재가 상한제로 구체화하면서 큰 난관에 봉착했다. 러시아는 지난해 3월 우크라 침공의 서방 제재가 쏟아질 때 일시 석유 수출을 크게 줄였으나 곧 하루 30만 배럴에 그쳤다.  유럽에 하루 300만 배럴 이상을 수출하던 러시아는 제재로 이 중 반을 중국과 인도 등 아시아에 싼값에 팔면서 생산과 수출을 유지했다. 브렌트유가 80~100달러일 때 러시아 우랄유는 50달러 가격에 아시아에 팔렸다. 유럽연합은 지난해 12월5일부터 러시아산 석유의 수입을 90% 줄였다. 거기에 같은 날 G7이 주도하고 유럽연합과 호주가 호응한 러시아산 석유에 대한 상한제가 개시됐다.  러시아산 석유를 배럴당 60달러 이상에 살 경우 이의 수송을 위한 보험, 선적 등을 금지하는 조치이며 이 상한제는 유럽연합의 수입 금지와 역시 병행해서 2월5일 정유 제품까지 확대됐다. 러시아 유가가 상한제 전에도 배럴당 60달러 아래여서 상한제 개시에도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러시아 연방 예산 수입의 반을 차지하는 에너지수출 총수입이 1월에 46%나 감소해 당월 예산이 250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석유 외에 러시아는 유럽연합 국가들이 크게 의존해온 천연가스를 무기화 해서 지난해 우크라 지원에 나선 유럽 국가에 대한 가스 공급을 4분의 1 정도로 격감시켰다.  이로 인한 가스판매 수입 격감 누적이 석유판매 수입 감소와 어우러져 여유있는 연금 등의 연방 예산과 우크라 전쟁비용을 대던 에너지 수입이 확 준 것으로 보인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