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본 제14차 회의4월 말까지 복구계획영남권 산불로 인해 피해를 입은 주민들에게 긴급생계비 300만원이 우선 지원된다. 또 농업 피해 보전을 위해 주요 농작물 복구단가 현실화와 농기계 지원 확대 등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고기동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은 5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제14차 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대책을 발표했다.이날 회의에서는 이재민 주거안정대책 지원상황, 피해 근로자·중소기업 지원상황, 해양수산 분야 피해 지원방안 및 산불피해·대피지원 외국인 지원방안 등 세부적인 조치상황을 논의했다.정부는 범정부 복구대책지원본부를 중심으로 15일까지 중앙 재난피해 합동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장기적이고 항구적인 복구계획을 4월 말까지 수립해 확정하겠다는 방침이다.신속한 피해 복구와 피해지원 대책 마련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고 본부장은 "이번 산불로 인해 농업 피해가 컸는데, 주요 농작물 복구단가 현실화, 농기계 지원 기종 확대 등 농작물, 농업시설, 농기계에 대해 지원을 확대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며 "피해 어업인들에게는 재해복구비 신속 지원과 함께 경영 자금도 긴급 지원하겠다"고 했다.이어 "산불 피해 지역에 있는 소상공인, 중소기업 등 영세 사업장은 정책금융 등을 활용해 경영 안정화를 지원하고 컨설팅 등 비금융 지원도 병행하겠다"고 말했다.재회구호협회 등을 통한 국민성금은 전날 오후 5시까지 총 925억1000만원이 모였다. 정부는 인명·주택 피해자를 대상으로 긴급생계비 300만원을 우선 지원할 계획이다.또 산불피해로 대피한 이재민 거주와 관련해 "향후 이재민을 위한 영구주택은 정부 부처뿐만 아니라 공공기관의 주택사업까지 연계해 추진하겠다"며 "피해지역의 특성까지 반영한 공동체로 회복될 수 있도록 제도개선, 재정 지원 내용까지 포함한 특별대책을 수립하겠다"고 설명했다.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 기준 산불로 인한 인명피해는 82명으로 잠정 집계됐다.부상자는 전날 중상 1명, 경상 5명이 늘어 각각 9명, 42명이 됐다. 이들은 인명피해 집계에 포함되지 않았다가 피해 조사 과정에서 추가 확인된 것으로 전해졌다.사망자는 31명이다.시설 피해는 이날 오전 6시 기준으로 7659곳이다. 전날 오후(7544곳)보다 115곳 늘었다.대피 중인 주민들은 이날 오전 6시 기준 1972세대 3274명이다.조여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