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새로 알려진 `솔양진이`가 국내에서 처음 발견됐다.  환경부 대구지방환경청(청장 최흥진)은 최근 독도 생태계 모니터링 중 국내에서는 공식 보고된 적이 없는 희귀새인 `솔양진이`를 독도의 동도에서 처음 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솔양진이는 참새목 되새과에 속하는 조류 중 가장 큰 종 가운데 하나로 주로 시베리아, 북유럽 등에서 텃새로 분포하며 겨울에 먹이가 부족할 경우 분포권 남쪽 지역으로 이동하기도 한다. 이번 솔양진의 독도 발견은 국내에서 관찰되지 않은 조류를 독도에서 발견한 최초 사례로 조류분포 연구에 큰 가치가 있다.  한반도에서는 함경북도 웅진에서 1959년 11월12일 암컷 1마리가 채집된 기록이 유일하다. 이번에 확인된 새는 수컷 1마리로 분포지역을 이동하던 중 길을 잃어 잠시 독도의 동도에서 머물렀던 것으로 추정되고 이후 규칙적인 도래 가능성은 상당히 희박한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솔양진이는 전 세계 고위도 북반구에서 약 400만 개체가 서식하고 있으나 그 수가 점점 줄어들고 있어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서는 LC(Least Concern, 관심필요)등급으로 평가하고 있다. 환경청 관계자는 "솔양진이 발견 계기가 된 이번 생태계 조사는 독도가 생물지리학적 특성 등으로 조류 생태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재확인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 독도 자연생태계 모니터링을 더욱 강화해 새로운 생물종 발굴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