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19일 오전 10시부터 박근혜 정부에 대한 정기국회 첫 대정부질문에 들어갔다. 당장 국가기관의 대선개입 의혹 사건에 대한 야당의 공세가 예상되고 반면 새누리당에서는 국회선진화법의 위헌성 지적 등이 질문의 주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정치분야 대정부질문에 이어 20일에는 외교·통일·안보분야, 21일과 22일에는 경제분야, 25일에는 교육·사회·문화분야에 대한 대정부질문이 이어지고 질문자로는 60명의 의원이 나선다.  정치분야 대정부질문에서는 우선 지난 15일 검찰이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실종 사건과 관련, 노무현 전 대통령의 수정·폐기 지시가 있었다는 수사결과를 발표한 상황이어서 이를 두고 여야의 충돌은 불가피해 보인다.  또한 18일 박근혜 대통령의 국회 시정연설 이후 새누리당이 국가정보원 개혁과 관련해 국회 내 특위 구성요구는 받아들였지만 국가기관의 대선개입 의혹 사건에 대한 `원샷 특검`도입에 대해서는 반대, 이를 두고도 여야가 논란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민주당은 새누리당이 특위를 수용하더라도 특검을 수용하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면서 황교안 법무장관에 대한 해임건의안과 남재준 국정원장 및 박승춘 국가보훈처장에 대한 해임촉구 결의안을 19일 국회에 제출하기로 했다. 법인카드 부당 사용 의혹을 받고 있는 문형표 보건복지부장관 후보자의 자진사퇴 여부를 놓고도 여야가 대정부질문에서 공방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황찬현 감사원장 후보자에 대한 임명동의안 처리에 대해 새누리당은 대화를 통해 풀어가자는 입장인 반면, 민주당은 대화는 할 수 있으되 문형표 후보자의 사퇴를 황 후보자 임명동의안 처리 및 김진태 검찰총장 후보자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채택과 `연계처리` 하겠다는 입장이다.  한편, 정치분야 대정부질문에는 새누리당에서 김성태·노철래·김을동·이철우·김동완·이장우 의원이, 민주당에서 원혜영·신계륜·추미애·양승조·전해철 의원이, 정의당 서기호 의원이 각각 질문자로 나선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