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1월 1일 부터는 모든 국민이 도로명 새주소를 써야 한다. 관공서 민원 서류에도 도로명으로 신청해야 함 또한 당연하다. 그런데 아직 도로명 주소를 모르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 왜 멀쩡한 주소를 두고 도로명으로 바꾸느냐고 불만을 토로하는 사람도 더러 있다. 지금 사용하는 지번 주소는 일제 강점기인 1910년 토지조사를 목적으로 쓰였던 방식이다. 이 때문에 첨단 기술이 발달된 현재는 사용이 불편하고 순차성과 체계성 부족으로 위치 찾기가 아주 힘들다. 그래서 새로운 도로명 주소를 도입하게 된 것이다.
도로명 주소는 도로명에 건물번호가 있어 거리와 방향 예측이 가능하다. 경찰·소방 등 긴급상황 발생시 현장 도착 시간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물류비 절감으로 경제적 비용도 크게 줄어든다. 이 때문에 지금 당장 사용이 불편하더라도 도로명 주소는 반드시 도입돼야 한다. 도로명 주소가 길고 외우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고 불만을 토로하는 사람도 있다. 물론 지역에 따라 다양한 도로명을 사용하다보니 그런 불만이 나올 수 있다. 그러나 자꾸 사용하다 보면 익숙해질 것이다.
당장 내년 1월부터 모든 기관에서 사용해야 하는데 아직도 이를 꺼리는 국민들이 많은 것은 정부가 제대로 홍보를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앞으로 남은 40여일 동안이라도 홍보를 더욱 강화, 내년 부터 차질 없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현재 우편물의 도로명 주소 표기가 16.55%에 불과하다고 한다. 이런 추세라면 내년도 전면 사용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을까 심히 우려된다. 그나마 지난해 13.69%에서 올들어 16.55%로 2.86% 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홈페이지 상 소재지, 고객 접수, 민간기업의 보유주소 전환도 40% 수준에 머물고 있다. 공공분야에서는 주민등록과 건축물대장 1095종 중 1093종의 도로명 주소 전환이 완료된 것으로 알려졌다. 민간인과 민간 기업 등이 도로명 주소 전환에 소극적인 것을 알 수 있다. 정부의 도로명 주소 활용도는 중앙부처가 88.73%, 지방자치단체는 92.17%로 나타났다. 이는 지방자치단체가 도로명 주소 홍보에 더욱 관심을 갖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앙부처가 더욱 앞장서야 하는데 그렇치 못한 것이다. 반성해야 할 부분이다.
행안부는 도로명 주소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초·중·고교 학부형을 대상으로 가정통신문을 발송했다. 또 민간기업의 홈페이지나 명함 등에 주소를 도로명으로 바꾸는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국방부는 도로명 주소로 편지쓰기 운동을 벌이고 있고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전통시장, 터미널 등에서 홍보를 벌이고 있다.
관할 시도는 이미 이미 각 시·군에 `도로명 주소 안내의 집`을 개설, 홍보에 나서고 있으며 대한지적공사 지역본부도 시·군 지사를 도로명 주소 안내의 집으로 지정 안내도를 무료 배포하고 있다고 한다. 시 도내 어느 곳을 가더라도 도로명 주소 안내 시설물만 보면 목적지를 쉽게 찾을 수 있게 돼야 한다. 이제 국민들은 보다 적극적으로 도로명 주소를 사용하는 습관을 일상 생활에서 찾아야 한다. 당장 혼란이 가더라도 도로명 주소를 자주 사용하다 보면 익숙해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