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자 부정 부패가 하루멀어 연쇄반응을 일으키고 있다.
향응 넘어 검은돈 챙기기 지나 성범죄 까지 아예 대놓고 범죄를 저지르고 있다.
행정기관이 도둑놈소글이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2008년부터 2012년까지 대구시 공무원 469명이 각종 비리로 인해 징계를 받았다.
정홍원 국무총리가 “정부는 공직사회 부정부패와 비리에 대해서 무관용(zero-tolerance) 원칙으로 엄중 대처하고, 공직사회의 제1공적으로 발본색원해 나갈 것”이라고 천명했다.
공직사회 제1공적 척결은 말그대로 허공의 메아리다.
대구 국세청 북대구 세무서 직원은 세무편의를 제공하는 대가로 업자로 부터 꼬박꼬박 뒷돈을 챙겼고, 경산 세무서 직원도 병원장 나이트클럽사장으로 부터 검은돈을 챙겨왔다.
경북경찰청은 20일 세무편의 제공 대가로 금품을 받은 혐의(뇌물수수)로 대구국세청 경산세무서 과장 박모(55)씨를 구속하고, 돈을 건넨 대구지역 성형외과 원장 김모씨 등 3명을 불구속 입건했다.박씨는 2011년부터 최근까지 원장 김씨와 나이트클럽 운영자 등 3명에게서 소득세 신고와 세무조사 때 편의를 봐주는 대가로 휴가비와 명절 떡값 등 1600만원을 받은 혐의다.
앞서 19일 대구경찰청도 세무편의를 제공하는 대가로 금품을 받아 챙긴 대구국세청 북대구세무서 공무원 이모(56·6급)씨를 뇌물수수등의혐의 구속했다.
대구시 북구청 간부들은 여직원들을 78년간 성추행하는 등 못된짓을 저질렀다.
포항시공무원들은 각종 이권에 개입 줄줄이 경찰신세를 지는 수모를 안았다.
경주시 공무원들도 가세했다.
공무원들이 비리와 관련돼 무더기로 중징계를 받았다.
최근 경북도는 인사위원회를 열고 경주시 5급 사무관인 A읍장과 공로연수중인 B과장 등 2명에 대해 정직 2개월의 중징계를 내렸다.
이들은 산업단지 인·허가 관련된 부서의 과장으로 재직 할 때 산업단지 시행업자로부터 상품권, 기프트카드, 해외여행경비 등 1000여만원 상당의 선물과 향응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주시는 관련 직원 4명 등에 대해서도 정직·감봉·견책 등의 중징계를 내렸다.
2012년에는 음주운전으로 8건, 도박 4건, 기타 5건의 공무원 범죄가 터졌다.
올해 10월말 현재까지도 음주운전 7건, 기타 4건 등의 범죄가 발생해 각종 징계를 받았다.
또 C과장과 D과장은 시단위 행사장에 참석했다 행사 도중 빠져나와 직원들과 함께 야간골프장에 갔다 안행부의 암행감찰에 적발 돼 최근 중징계 지시가 내려온 것으로 밝혀졌다.
중징계는 파면·해임·강등·정직 등의 처분이며 5급 사무관 이상 직급은 차상급 기관인 경북도 인사위원회의 소관으로 처분만 기다리고 있는 실정이며 또다른 E과장은 형사입건 돼 당국의 조사를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