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가 오는 25일 취임 1주년을 맞이한다. 박 대통령은 지난 한해 `세일즈 외교`에 집중하며 미국과 중국을 포함해 총 9개국의 해외순방에서 적지 않은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특히 지난 5월 미국을 첫 공식 방문한 박대통령의 영어 연설은 미국 현지에서는 물론 국내에서도 많은 화제를 모았다.
외국어전문 교육기관 파고다아카데미(www.pagoda21.com)가 미 의회 상하원 합동회의 및 영국의회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연설문 내용을 분석한 결과 박근혜 대통령이 가장 많이 사용한 단어는 `we` 또는 `our`인 것으로 나타났다.
두 연설에서만 we와 our을 총 154번 사용했다. 이는 연설문에 쓰인 전체 단어 중 약 6%의 비중을 차지한다.
미국과 한국, 영국과 한국은 하나이며 우리는 같은 생각과 같은 뜻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our journey(우리의 여정)`, `our countries`, `our partnership`, `our future` 라는 표현을 반복적으로 사용했다.
`our future` 라는 문구를 22번, `our economy`를 20번 `our alliance(우리의 동맹)`을 18번 사용하는 등 현재 모든 국가들의 관심사인 경기회복과 미래를 염두한 표현들이 많았다.
또 북한과 관련된 이야기를 자주 언급 했으며 관련 단어인 `peace(평화)`를 두 연설에서 무려 46번이나 사용하기도 했다. `global peace`, `world peace`, `peace to all of humanity` 등 평화에 대한 표현이 빈번하게 사용됐다.
이 뿐만 아니라 박근혜 대통령은 미국 상하 양원 합동회의 연설에서 미국 속담인 `You cannot have your cake and eat it too(양쪽 다 좋을 수는 없다)` 라며 여유있게 웃음을 자아내기도 했고 영국의회에서는 영국 속담 `A smooth sea never made a skilled mariner(잔잔한 바다는 능숙한 선원을 만들지 못한다)`를 사용해 그 나라의 문화적 이해까지 돋보이는 연설을 했다.
파고다어학원 강남 학원 지나(Gina) 오 강사는 "미 의회 상하원 합동회의와 영국의회의 두 연설문에서 사용한 단어나 표현들이 매우 유사했다"며 "특히 박대통령은 we 또는 our 이라는 단어를 사용할 때 청중들을 바라보며 시선을 맞추고 동의를 구하는 손짓을 취해 의미를 더욱 강조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