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장관후보자 인사청문회를 지켜보면서 착잡함과 답답함 그기에 서글픔까지 금할 길 없다. 일부 후보자의 하자는 넓은 마음으로 이해할 수도 있지만 김명수 교육부장관 후보의 갖가지 의혹은 아무리 양보해도 용납하기 어렵다고 하겠다. 이처럼 인생을 막 살아온 사람처럼 살아온 사람이 국정의 막중한 장관직을 맡겠다고 청문회에 나온 것 자체가 비극이라고 하겠다. 박근혜 정부 2기 내각의 인사 청문회가 시작됐다. 국회 상임위원회별로 이뤄진 청문회에서 후보자들은 그동안 불거진 의혹이나 사안에 대해 해명도 하고 사과도 했다. 정종섭 안행부장관 후보는 군복무 시절 박사과정을 밟고 시간강사 일을 하며 돈벌이를 한 게 불거졌고, 이병기 국정원장 후보는 2002년 대선 때 불법정치자금을 전달한 이른바 `차떼기 사건`으로 집중추궁을 받았다, 최양희 미래부장관 후보는 병역 중 프랑스 유학, 다운계약서 작성 등이 거론되기도 했다. 국민의 관심은 역시 그동안 온갖 의혹이 불거졌던 김명수 교육부장관 청문회였다. 김 후보자는 여러 편의 논문을 표절하고 제자의 논문을 가로챈 것으로 지목됐다. 제자의 연구비를 부적정하게 집행했다는 의혹도 사고 있다. 김 후보자는 학계의 관행을 들먹였고, 일부는 `실수`라고 밝혔다. 연구비 가로채기 의혹에 대해서는 "죄송하게 생각한다"면서도 "적절한 절차에 따라 지급받았다"며 잘못이 없다고 해명했다. 대한민국 백년대계인 교육을 책임질 김 후보자를 보면 인생을 막 살아왔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제자의 석사논문 표절 의혹에 대해 "게재 과정에서 학생 이름을 실수로 누락했다"고 밝혔는데 실수 치고는 너무 큰 실수다. 너무 많은 논문에 대해 표절시비가 빚어졌고 연구비 집행 과정도 석연치 않았다. 학생들을 가르치고 교수들의 연구를 담당해야 할 교육부장관으로 적절치 않다는 얘기다. 박근혜 대통령 인사가 번번히 실패를 거듭하는 것은 건전한 상식과 국민의 눈높이를 벗어났기 때문이다. 국민들은 최소한의 윤리의식이나 도덕성도 없이 마구잡이로 돈을 벌고 논문도 표절해 온 사람을 그것도 교육부장관에 앉히지 말라고 주장하고 있다. 세상이 많이 변했고 국민들의 요구는 앞서가는데 박근혜 정부는 아직도 시대착오적인 인물을 끌어안고 허둥대고 있다고나 할까.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