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분양시장의 순위 내 마감률이 지역별로 격차가 크게 나타났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가 상반기 분양시장의 순위 내 마감률을 확인한 결과, 순위 내 마감률이 가장 높았던 지역(시·도)은 대구시 85.71%로 조사됐다. 이는 전국 평균인 53.96%(202곳 중 109곳 순위 내 마감)에 비해 31.75% 높은 수치다.순위 내 마감률이 가장 높은 대구의 경우 상반기에 총 21곳이 공급됐고 18곳이 순위 내 마감됐다. 순위 내 마감 단지 18곳 중에는 1순위 마감 단지 12곳, 청약자 1만 명 이상 단지가 6곳이나 될 정도로 전국에서 가장 뜨거운 청약열기를 보였다. 두 번째로 순위 내 마감률이 높았던 지역은 부산(77.78%). 이 지역은 총 18곳이 공급됐고 14곳에서 순위 내 마감됐다. 1순위 마감 단지는 총 11곳으로 부산 역시 대구와 마찬가지로 좋은 분위기가 상반기 내내 지속됐다. 대전은 총 3곳 중 2곳에서 순위 내 마감돼 순위 내 마감률은 66.67%를 기록했다. 유성구 죽동지구 2곳, 서구 관저5지구 1곳 등 택지지구에서만 분양이 이뤄진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다른 지역에 비해 공급된 단지수가 적었고 1순위 마감 단지도 없어 분양시장이 활성화 된 것은 아니었다. 경북과 광주도 총 16곳 중 9곳, 9곳 중 5곳이 순위 내 마감하며 좋은 성적을 거뒀다. 분양시장의 핫 플레이스인 서울의 경우 20곳 중 11곳이 순위 내 마감, 마감률 55.00%를 기록해 전국 평균보다는 높았다. 하지만 이 중 1순위 마감에 성공한 곳은 아크로힐스 논현, 마곡힐스테이트 2곳에 불과해 대구·부산 등과는 비교되는 모습을 보였다.이는 서울 특성상 재개발·재건축·주택조합 물량이 많았는데 이들 중 상당수가 강북에 위치해 있던 것도 이 같은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이밖에 나머지 10개 시·도는 전국 평균보다 낮은 순위 내 마감률을 기록했다. 전남은 16곳 중 4곳에서만 순위 내 마감에 성공하며 순위 내 마감률 25.00%에 그쳤다. 순위 내 마감된 4곳은 모두 혁신도시 내에 공급된 물량으로 나머지 단지들은 큰 관심을 얻지 못했다. 그동안 인기지역으로 꼽혔던 세종도 3곳 중 1곳에서 순위 내 마감되며 순위 내 마감률 33.33%로 저조한 결과를 기록했다. 조은상 부동산써브 부동산리서치팀장은 "올해 상반기 분양시장은 대구·부산·경북 등 영남권을 제외하면 나머지 수도권과 지방은 신도시·혁신도시 등 대단위 개발지역이거나 개발 호재가 있는 단지에만 수요가 집중되는 모습을 보였다"며 "하반기에도 부동산 침체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입지, 분양가 경쟁력을 갖추지 못한 단지들은 수요자들에게 외면당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