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로 친구들을 잃은 단원고 2학년 생존 학생들이 폭염 속에 1박 2일 도보행진을 벌였다. 단원고 2학년 학생 46명과 학부모 10명 등 56명이 15일 오후 5시 수업을 마치고 `세월호 참사의 진실을 밝혀달라`는 깃발을 들고 단원고를 출발, 1박 2일의 고된 일정으로 16일 국회의사당까지 도보행진을 벌였다. 억울한 죽음, 진실을 밝혀 달라는 것이다.그런가 하면 세월호 유가족들은 지난 12일부터 국회의사당 앞과 광화문광장에서 밤샘농성을 벌이고 있다. 여야가 발의한 세월호 특별법 내용이 진상규명과 재발방지 대책보다는 배상 문제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그마저도 여야 의견 대립으로 지지부진하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가족대책위는 15일 `세월호 특별법 제청 촉구`를 담은 350만 명의 서명부를 국회의장에게 제출했다.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지 어제로 3개월이 됐다. 293명이 싸늘한 주검으로 돌아왔고 11명은 아직도 실종상태다. 4월 16일 이전과 이후가 완전히 달라져야 한다는 박근혜 대통령의 ‘대한민국 대개조’ 약속이 있었지만 달라진 건 아무 것도 없다. 여야 원내대표가 지난 10일 박근혜 대통령과 청와대회동에서 16일까지 세월호특별법 을 처리키로 합의했지만 진상조사위원회의 권한과 구성이라는 작은 문제로 세월만 보내고 있다. 세월호 가족대책위가 특별법 제정에 가족대책위가 참여하는 ‘여·야·가족 3자 협의체’ 요구도 꽉 막혔다. 새정치연합은 동의 했지만 새누리당은 3자 협의체 구성은 물론 가족들이 조사 참관 주체로 참여하는 것조차 안 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가족대책위가 원하는 것은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안전사회 건설을 위한 특별법 제정이다. 희생자 가족이 참가해서 안 될 이유는 없어 보인다.여·야 정당과 정부는 세월호 특별법 논의 과정에서 가족대책위와 국민들이 청원한 4·16 특별법의 취지를 받아들여야 한다. 가족대책위의 말대로 지금이 진정한 국가 변화를 꾀할 수 있는 제2의 골든타임이라면 촌음도 허비해서는 안 된다. 그간의 대형사고 때처럼 용두사미로 끝날 일이 아니다. 여야는 가족대책위의 제안을 담은 특별법제정에 합의해야 한다.70대 일본인 할머니가 유족들을 위로하는 뜨개질로 만든 250송이의 장미와 편지를 만들어 보내왔다는 감동적인 소식이 있다. 희생자 가족들의 가슴에 수많은 대못을 박은 우리 정부와 정치권이 깊이 반성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