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은 17일 7·30재보궐선거와 관련해 △전월세 상한제 등 주택문제 개선대책 △어르신 주치의 제도 △소득중심 성장정책 등 3대 생활정책공약을 발표했다. 새정치연합은 이날 7·30재보궐선거 서울 동작을 기동민 후보 선거사무실에서 의원총회를 열고 `가계소득은 올리고 생활비는 내리는 공약`의 일환으로 서울시 정책과 연계한 동작을 정책공약을 이같이 밝혔다. 김기식 의원은 가계소득 증대방안에 대해 "가진 분들의 자산소득은 늘어나는데 서민, 노동자, 중산층의 임금소득이나 사업소득은 늘지 않고 있다"며 "임금소득 향상을 위해 최저임금제를 평균임금의 50%가 되도록 입법하겠다"고 밝혔다.이와 관련, △근로시간 단축 및 일자리 나누기 △사회복지 서비스 중심 간병인 2만명 일자리 창출 △중소기업 지원 △아파트 관리비·간병비·의료비 부담 축소 △공공임대주택 공급 확대 △무료 와이파이 확대 △무제한 환승카드 도입 등을 제시했다.유성엽 제3정조위원장은 주택문제와 관련, "주거 취약계층 지원이 시급한데 정부 대책은 모두 부자감세, 착한규제 폐지였다"며 "가계부채가 100조원이 넘고 하우스푸어 150만 시대에 LTV, DTI 규제는 거품과 하우스푸어만 양산한다. 국민경제의 암덩어리를 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세부 공약으로는 △전월세 상한제 도입 및 계약 갱신 청구권 보장 △표준 임대료 체계 구축 △준공공임대 인센티브 예산 1000억원 확보 △임대주택 공급 확대 등을 제시했다.김성주 제4정조위원장은 어르신 주치의 제도와 관련, "노후를 위해 관련 노인복지를 실천하도록 노인복지청 신설을 주장하고 정부조직 개편 과정에 반영하겠다"며 "이미 박원순 시장이 시행해왔지만 동작을에서 꽃을 피울 것"이라고 밝혔다.김 위원장은 특히 기초연금에 대해 "40만명 어르신이 기초연금 수혜에 탈락했고 20만원이 아닌 2만~18만원이 깎인 어르신도 수만명이다. 우리 당은 모두 지급하자고 주장해왔다"며 "기초생활보장법을 개정해서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