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안전위원회는 경북 울진군의 한울 3호기 정기검사 중 증기발생기 2차측에 연결되는 일부 배관과 밸브의 재료시험성적서에 모의후열처리 기록이 누락돼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17일 밝혔다.모의후열처리는 용접후열처리를 장시간 고온에서 실시할 경우 재료의 성질이 변할 수 있으므로, 기기 제작시 일정 시간과 온도 하에서 열처리한 후 재료의 성질이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기록해 기기 납품시 제출하도록 하는 것이다.그러나 원전측은 기기 납품 당시 이를 확인하지 않고 장착한 것으로 보인다.이에 따라 원안위는 한울 3호기와 유사한 사례가 있는지 전 가동원전의 배관과 밸브로 확대 조사한 결과 한울 3, 4호기와 한빛 3, 4, 5, 6호기 등 총 6기의 일부 배관과 밸브에서 동일하게 모의후열처리가 누락된 것을 확인했다.해당 배관과 밸브는 모두 원전 증기발생기 2차측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계통과 증기발생기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계통에 설치돼 있다는 설명이다.이로 인해 원안위는 해당 기기들이 제작?시공과정에서 과도하게 열처리됐을 가능성이 있음에 따라 이들 기기의 건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현장에 설치된 기기를 대상으로 재료시험을 실시하고 건전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원안위는 원전 사업자인 한국수력원자력(주)에게 해당 기기들에 대해 모의후열처리 요건을 갖춘 새로운 기기로 교체하거나 현장에 설치된 기기와 동일시편을 사용해 모의후열처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기록하도록 조치했으며 다른 기기의 경우에도 유사 사례가 있는지의 여부를 점검해 나갈 계획이다.한편 한울 1, 2호기의 배관은 탄소강이고 한울 3, 4호기는 성능이 더 좋은 저합금강으로 바꿨는데 이 저합금강은 모의후열처리가 필요한데도 원전측은 이를 시방서에 기록하지 않아 기기를 납품받을 때 검수과정에서 이를 확인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