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 2기 경제팀이 공식 출범하면서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집중 조명받고 있다. 한국경제가 경제성장 둔화의 조짐을 보이며 저성장의 늪으로 빠지고 있는 위기상황에서 거시경제를 총괄하는 경제부총리의 중임을 맡았으니 당연한 일이다. 최 부총리가 유일하게 현 정부에 입각한 지역출신 인사이기 때문에 지역의 기대치도 높다.2기 경제팀이 해야 할 최우선 과제는 너무나 분명하다. 경제활성화를 통한 실물경제 회복이다. 기업에 숨통을 틔워주고 민생에 희망을 안겨 주는 일이다. 내수경기를 살리고, 부진한 기업의 투자와 가계의 소비를 늘릴 현실적인 정책 추진에 역량을 집결해야 한다. 최 부총리가 16일 취임식에서 거시경제 정책과 창조경제를 통한 혁신을 통해 경제활성화에 나서겠다고 강조한 것도 사태의 심각성을 꿰뚫어 본데서 나온 말이다.시장은 벌써부터 2기 경제팀에 대한 기대로 예민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당장 최 부총리가 국회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제시한 부동산정책의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다. 부동산 시장을 살리는 것이 경기 활성화의 긴급처방이라는데 이의가 있을 리 없다. 부동산 시장이 풀려야 돈이 돌고, 가계 소득이 올라가며 내수시장도 활기를 띄게 된다고 보는 것이다.최 부총리가 취임 일성으로 “경기가 살아나고 심리가 살아날 때까지 거시정책을 확장적으로 과감하게 운영하겠다”고 강조한 것에서 자신감을 읽게 된다. 우리 경제가 직면한 저성장, 저물가, 과도한 경상수지에 따른 심각한 불균형이 일본의 ‘잃어버린 20년’과 비슷하다는 진단이 정곡을 찔렀다는 평가도 나왔다. 따라서 2기 경제팀은 경제를 살리기 위해 가능한 모든 정책수단을 총동원해서 경제를 활성화시켜 주기 바란다. 고무적인 것은 한국은행도 경기 인식에서 정부와 큰 차이가 없다고 하는 점이다. 과거 내각의 경제부처와 한은간의 부조화를 목도해 온데 비하면 긴밀한 정책 공조가 기대되는 현재의 상황은 매우 믿음직스럽다.경제활성화는 최경환 경제팀만의 힘으로 되지 않는다. 정부의 경제정책이 속도감 있게 추진될 수 있도록 국회에 계류돼 있는 70여건의 경제살리기 관련법안을 여야가 신속히 처리해 주어야 한다. 세월호 특별법처럼 밀고 당겨서는 안 된다. 재ㆍ보선 선거일 전에 일괄 처리하기 바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