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이 빚에 쪼들려 살고있다.학자금 대출을 갚지 못해 `신용불량`이라는 `주홍글씨`를 가슴에 달고산다.사회생활을 경험하기도 전부터 청년들이 저신용이라는 꼬리표를 달고 사회에 진출해야 하는데 근본문제는 높은 대학 등록금으로 인한 학자금 대출 탓이다.학자금 대출금을 갚기 위해 학업을 중단하거나, 학자금 대출 부담으로 졸업 후 진지한 진로 탐색 없이 열악한 노동시장으로 전전하는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다. 졸업 후 취직이 어려워 학자금 대출금을 상환하지 못해 법적조치까지 받는 학생들이 사회진출에 있어서도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더 이상 청년들만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반적인 문제로 확대되고 있다. 때문에 높은 등록금이라도 실질적인 조정을 통해 청년들의 부담을 줄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청년 실업도 너무 심각하다.일자리를 구하지못한 청년들은 오늘도 일자리를 찾아 거리를 헤매고 있다.대학을 졸업해도 갈곳이없다.실업대란에 청년들의 어깨는 축 처지고 삶은 더욱더 궁핍해져만 간다.서글픈 자화상이다.▣대구 경북 대학생 60억4800만원 빚 못갚아2009년 부터 5년간 한국장학재단의 학자금 대출을 갚지 못해 법적조치를 받은 대학생들이 굴러가는 자전거 패달에 가속도까지 붙었다.이 사실은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가 한국장학재단에 학자금 대출자 현황과 학자금 대출 장기 연체자에 대한 법적 조치현황에 대해 정보공개 청구에서 확인됐다.확인결과 2009~2013년 까지 대구 경북지역 대학생 21만8043명(대구 10만7552명, 경북 11만491명)들이 총 1조1954억원(대구 4209억원, 경북7745억원)의 학자금 대출을 받았다. 하지만 학자금대출을 받은 대학생 933명(대구 473명, 경북 460명)이 60억4800만원의 대출금을 갚지 못해 가압류·소송·강재집행의 법적조치를 당했다. 유형별로는 소송이 570명(대구 304명, 경북 266명)에 32억8500만원(대구 17억20억, 경북 15억65억)이다가압류 347명(대구 160명, 경북 187명)에 26억2200만원이고, 강제집행이 16명(대구 9명, 경북 7명)에 1억4100만원(대구 8500만원, 경북 5600만원)이다.▣2013년 429명 주홍글씨지난해는 더 심하다.전국적으로 3742명이 255억9400만원이라는 채무액을 안고있다.대구·경북지역 대학생 8만2665명(대구 2만9689명, 경북 5만2976명)이 2148억원(대구 860억, 경북 1652억)의 학자금 대출을 받았다.이 가운데 대구 경북지역 대학생의 장기연체자 429명(대구 226명, 경북 203명)이 법적조치(채무자 자택주소가 없는 경우 주민등록등본주소, 실거주지 합산 기준)를 받았다. 채무액은 29억7200만원이다.법적조치 유형별로는 가압류는 62명(대구 30면 경북 32명)에 6억700만원(대구 2억6100만원, 경북 3억4600만원)이다.소송은 366명(대구 195명, 경북 171명)에 23억4800만원(대구 12억1800만원, 경북 11억3000만원)이다.강제집행은 대구에서 1명, 금액은 2400만원이다.▣전국적으로 555억 8500만원 갚지못해전국적으로는 2009~2013년 까지 대학생들이 총 11조 5312억원의 학자금 대출을 받았다. 이 기간 학자금대출을 받은 8523명이 555억 8500만원을 갚지 못해 가압류·소송·강재집행의 법적조치를 당했다. 6개월 이상 장기연체자가 될 경우 부동산이나 급여 등이 발견되면 가압류, 강제집행 등의 법적조치를 취합니다. 특히 취업 후 소득이 확인되는 경우 최저금액인 월 150만 원을 제외한 초과부분에 대해서는 가압류 절차를 통한 강제집행에 들어간다. 법적 조치를 받은 장기연체자 현황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09년 649명의 학생이 36억7400만원 △2010년 1348명 84억2600만원 △2011년 999명 69억 3100만원 △2012년 1785명 109억 6000만원 △2013년 3742명 255억9400만원이다.2009년 이후 학생수가 약 5.7배정도, 채무액은 약7배 정도 증가한 수치이다. 전진한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 소장은 "최근 정부가 `국민행복기금에 의한 학자금 장기연체자 채무조정지원 방안`을 내놨지만 이는 근본 해결책이 아니다"며 "높은 대학 등록금에 대한 실질적인 조정이 필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