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15일 예천군 지보면에서 80대 남성이 벌에 쏘인 후 의식과 호흡, 맥박이 없어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고 병원으로 긴급 이송했으나 사망했다.지난 14일에는 영천시 자양면 성곡리 솔밭에서 작업 중이던 백모(63)씨가 땅벌에 머리를 수십차례 쏘인 후 통증과 구토증세를 보여 출동한 119구급대의 응급처치 후 병원으로 이송됐다.최근 폭염으로 119에 벌집제거 요청이 급증하고 있는데다 벌쏘임 사고가 잇따라 발생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경북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올 5월부터 지난달까지 경북지역 벌집제거 출동횟수는 470건이다. 이는 지난해 335건보다 40% 증가한 수치이다.올 상반기 출동횟수는 1025건으로 하반기에 대부분 출동이 있었던 예년의 경우를 감안 할 때 상당히 일찍 벌떼들의 활동이 왕성해 졌다는 분석이다.올해는 비가 내리지 않고 무더운 날씨가 지속되면서 일찍 벌의 개체수가 급증했다는 것이 소방본부측의 설명이다.이에 따라 추석 성묘 시기인 9월에 많이 발생하던 벌 쏘임 피해도 이례적으로 일찍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도 소방본부는 벌떼 관련 피해예방을 위해 외출시 화려한 색보다는 무채색 옷을 입고, 벌을 자극하는 향수, 화장품, 스프레이는 가급적 사용하지 말 것을 당부하고 있다. 통상 벌은 냄새나는 색채에 자극을 받으면 공격 성향이 강해지기 때문이다.벌떼를 만났을 경우, 옷이나 수건을 흔들거나 뛰어 달아나지 말고, 최대한 움직임을 작게 하여 자세를 낮추는 것이 안전하다. 특히 벌에 쏘였을 경우는 손이나 핀셋으로 무리하게 벌침을 제거하기보다 신용카드 모서리를 이용해 침을 제거해야 한다.벌침이 제거되면 상처부위를 반드시 비눗물로 세척해야하며, 이러한 조치가 이뤄지지 않으면 구토, 설사, 복통 등의 증상을 보이다가 혈압저하, 호흡곤란으로 이어져 자칫 생명을 잃을 수도 있다.전우현 경북소방본부 대응구조구급과장은 "폭염에 따른 벌들의 활동 증가로 피해가 속출하는 만큼 벌집을 섣불리 제거하거나 벌을 자극하지 말고 도움이 필요하면 119를 불러 달라"며 주의를 당부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