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싼 등록금을 내기 위해 학자금 대출을 받았다가 신용불량자로 전락한 청년들이 암울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가 한국장학재단에서 받은 ‘학자금대출자 현황과 학자금대출 장기연체자 법적조치현황’ 자료를 보면 2009~2013년 까지 대구 경북지역 대학생 933명(대구 473명, 경북 460명)이 학자금 대출 이후 원금이나 이자를 제때 못 갚아 신용불량자라는 현대판 `주홍글씨`를 가슴에 달고 지내는 안타까운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지난 해 부쩍 심했다. 장기연체자 429명(대구 226명, 경북 203명)이 법적조치(채무자 자택주소가 없는 경우 주민등록등본주소, 실거주지 합산 기준)를 받았다. 채무액은 29억7200만원. 가압류가 62명(대구 30명 경북 32명)에 6억700만원(대구 2억6100만원, 경북 3억4600만원). 소송은 366명(대구 195명, 경북 171명)에 23억4800만원(대구 12억1800만원, 경북 11억3000만원)이며 강제집행은 대구에서 1명, 금액은 2400만원이다. 이 정도도 지역사회에서 구제하지 못한 현실이 안타깝다.이런 현상이 벌어지는 것은 경기침체 여파와 천정부지로 치솟는 등록금 때문이다. 우리나라 대학들이 얼마 안 되는 장학금마저 가난한 학생들보다 성적이 좋은 학생들 중심으로 지급하는 데다, 정부의 대학 학자금 대출 제도마저 가난한 학생들의 고통을 덜어주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못 주고 있기 때문이다. 대학졸업이 곧바로 청년 백수로 이어지는 고용불안의 문제도 크다.연간 1천만원에 육박하는 고액 등록금 마련을 위해 많은 대학생·학부모들은 어쩔 수 없이 은행의 학자금 대출을 이용하고 있다. 문제는 대출 금리가 만만찮아 원금은커녕 수십, 수백만원의 이자 갚기에도 버겁다는 사실이다. 이 같은 상황을 감안해 광역지자체들은 학자금 대출 이자지원을 적극 시행하거나 확대하고 있는 추세이지만 근본대책은 아니다. 최근 정부가 `국민행복기금에 의한 학자금 장기연체자 채무조정지원 방안`을 내놨지만 이 역시 근본 해결책은 아니다. 천정부지의 대학 등록금에 대한 실질적인 조정에 나서야 한다. 정부는 대선 당시 `반값 등록금` 공약 정신을 살려야 한다.학자금 대출이 연체되면서 사회에 첫발을 내딛기도 전에 20대 대학생들이 신용불량자로 전락하는 것은 우리 시대의 부의 양극화를 극명하게 반증한 것이다. 미래의 꿈을 제대로 피워보지도 못한 채 가난의 덫에 걸려 신음하고 있는 청년들을 방치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