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업계가 국내 철강산업 위기의 원인 가운데 하나로 지목되는 불량 철강재를 솎아내기 위해 비상대응 체제에 돌입했다. 한국철강협회는 22일 시장의 혼란을 야기했던 철강재 품질검사증명서(MTC) 위변조 방지를 위한 QR 시스템 `큐리얼(QReal)`을 전격 도입하고 비상대책반 체제를 가동한다고 밝혔다. . 철강협회는 이날 송파구 가락동 철강협회 회의실에서 회원사 임원간담회를 갖고 협회조직을 위기 극복을 위한 철강산업 비상대책반 체제로 운영하기로 결의했다. 최근 철근 롤마크 위조 및 불량 H형강 유입, 보론강 수입 등으로 인한 불법,편법 수입이 늘면서 국내 철강 유통시장 질서를 혼란에 빠뜨리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철강협회는 특히 이런 `짝퉁` 철강재는 국내시장을 잠식해 철강산업 전체를 어렵게 하고 있는데다 부적합한 철강재 사용으로 국민의 생명과 안전까지 위협받고 있다고 보고 있다. 철강산업 비상대책반은 오일환 상근 부회장을 반장으로 수입대응분과, 시장정상화분과 등 2개 분과로 운영되며, 대책반은 회원사와 위기상황을 공유하고 대응책을 발굴하게 된다. 비상대책반은 이날 발족과 동시에 수입 철강재가 국내산으로 둔갑하는 피해를 막기 위해 소비자가 현장에서 직접 휴대폰으로 원산지 및 품질검사증명서(MTC)를 확인하는 QR 시스템(큐리얼) 시연회를 가졌다.철강협회에 따르면 현재 철강제품의 품질검사증명서는 원본이 아닌 사본 형태로 유통되어 포토샵 등으로 문서를 위조하는 경우 현실적으로 위변조 여부 판독이 불가능하다. 또 바코드 스캐너와 수치입력 등의 번거로움으로 소비자가 아닌 제조자 위주의 형태로 운영, 유지되고 있는 실정이다. 오일환 상근 부회장은 "QR 시스템(큐리얼)은 포스코 및 현대제철이 먼저 적용했고, 향후 다른 회원사에게도 확대 적용해 나갈 계획"이라면서 "부적합 철강재 신고, 회원사별 철근 롤마킹 자료사진 등록 및 기업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철강업계에 스마트 유통시스템 구축을 위한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뉴시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