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실소유주인 유병언(73) 전 세모그룹 회장이 사실상 사망한 것으로 잠정 결론 내려진 가운데, 검찰이 지난 5월25일 유 전 회장을 눈앞에서 놓쳤던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다.유 전 회장 일가의 비리를 수사 중인 인천지검 특별수사팀(팀장 김회종 2차장검사)은 23일 유 전 회장이 은신했던 전남 순천 송치재 인근 별장(숲속의 추억)에 대한 급습 작전 당시 상황을 공개했다.검찰은 지난 5월25일 유 전 회장과 함께 별장에 은신하며 그의 도피를 도운 혐의로 현장에서 체포됐던 여비서 신모(33·구속 기소)씨의 진술을 통해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검찰에 따르면 유 전 회장은 지난 5월25일 밤 검찰 수사관 등 검거팀이 별장을 급습했을 당시 검거팀의 수색이 끝날 때까지 별장 2층 통나무 벽 안에 숨어 있었다.신씨의 진술 번복으로 이와 같은 사실을 뒤늦게 파악한 수사팀이 지난달 27일 다시 별장을 찾아가 내부를 수색했지만 이미 유 전 회장은 사라진 이후였다.유 전 회장이 숨어 있었던 통나무 벽에는 직사각형 형태의 출입문이 있었다. 출입문을 열고 들어가면 3평정도 규모의 공간이 있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벽 안 쪽에는 나무로 만든 잠금장치가 설치돼있었으며 벽 밖에 통나무를 끼워 맞춰 위장을 해놓은 상태였다고 검찰은 설명했다.하지만 검찰은 벽 안에서 유 전 회장을 찾지 못하고 4번, 5번이라고 적힌 띠지와 함께 현금 8억3000만원과 미화 16만달러 등이 들어있는 가방 2개만 발견했다.검찰 관계자는 "(별장에서 유 전 회장을) 찾지 못한 것은 통탄할 노릇"이라며 "별장에 유 전 회장이나 주변 인물 등이 다시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잠복, 감시했지만 (나타나지 않았다)"고 말했다.순천 별장에서 유 전 회장을 놓친 검찰은 이후 차명 휴대전화 1000여대의 통화내역 170만건을 분석하고 8만8000여명에 대해 가입자 조회를 실시했다.또한 유 전 회장의 도피를 돕는 것으로 의심되는 기독교복음침례회(일명 구원파) 신도 등의 휴대전화 180여대를 집중 추적해 관련자들을 체포했다.아울러 유 전 회장의 도피에 사용되는 것으로 의심되는 차량을 찾기 위해 주요 관련자 220여명의 보유 차량을 확인한 뒤 그 중 60여대를 특정해 이동경로를 추적했다. 유 전 회장의 도주 경로와 관련해 순천 일대 CC(폐쇄회로)TV를 모두 분석해 2만2000대의 통과 차량 중 도피 의심 차량을 구분했다.이처럼 검찰은 유 전 회장 추적 및 검거에 온 힘을 다했지만 결국 유 전 회장은 지난달 12일 오전 9시6분께 전남 순천시 서면 학구리 매실밭에서 형체를 알아 볼 수 없을 정도로 심하게 부패돼 있는 변사체로 발견됐다.이에 대해 특별수사팀장인 김 차장검사는 "발견된 시신이 유 회장이 아니기를 바랐다"며 "모든 노력을 다해 추적했으나 결과적으로 유 회장을 검거하지 못하고 변사체로 확인돼 할 말이 없고 참담한 심정"이라고 밝혔다.이어 "수사팀은 지난 4월20일 수사 착수 이후 세월호의 억울한 영혼들을 생각하며 100일 가까이 정말 쉼 없이 달려왔다"며 "무능하다는 질책과 비판은 얼마든지 감수하겠으나 유병언 부자(父子)를 반드시 검거하겠다는 일념으로 검사로서 부끄럽지 않게 일했다고 자부한다"고 강조했다.그러면서 "유병언 부자 검거 과정은 모두 수사팀장인 제 지시에 의한 것이고 그 과정에서 발생한 잘못과 비난은 오로지 저의 몫"이라며 "제 지시에 따라 밤낮과 휴일 없이 끼니를 거르면서 잠복하고 일해 온 검사, 수사관들의 노력과 고생은 보증하겠다"고 덧붙였다.한편 검찰은 유 전 회장이 도피 자금으로 20억원을 보유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20억원은 모르는 사실이다. 발견된 돈가방은 2개"라며 부인했다.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