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절한 근대문학가 이상(李箱·1910~1937)이 소설가 최정희(1912~1990)에게 자필로 쓴 연서로 추정되는 편지가 공개됐다. 권영민(66) 단국대 석좌교수는 23일 최정희의 딸인 소설가 김채원(68)씨가 보관하던 300여편의 편지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해당 편지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알려진 이상의 편지 글은 모두 10편으로 연서가 공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권 교수는 해당 편지를 이상의 친필로 보는 근거로 `글씨체가 영인문학관에 보관된 이상의 친필 유고와 일치하는 점`, `편지 끝 부분에 적힌 `이상`이라는 한자 표시`를 들었다. 최정희는 1931년 `삼천리`에 `정당한 스파이`로 등단한 소설가다. 가난 때문에 흉가를 얻어 사는 여성 가장의 삶을 1인칭 시점으로 묘사한 `흉가`(1937)와 1939년부터 2년간 차례로 발표한 `인맥` `지맥` `천맥` 3부작이 대표작이다. 최정희는 잡지사 삼천리에 근무하고 조선일보 기자로 활동하게 되면서 미모의 여성 작가로 주목받았다. 시인 백석(1912~1996)을 포함해 당대의 문사들에게 구애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권 교수는 이상이 최정희를 알게 된 시기를 연작시 `오감도`를 발표한 후 금홍과 결별한 1935년 무렵이라고 추정했다. 공개된 편지에는 최정희를 향한 애절한 마음과 정신적 좌절에서 벗어나 다시 글을 쓰겠다는 약속 등이 담겼다. "정히야, 나는 이제 너를 떠나는 슬품을, 너를 니즐 수 없어 얼마든지 참으려구 한다. 하지만 정히야, 이건 언제라도 조타. 네가 백발일 때도 조코 래일이래도 조타. 만일 네 `마음`이?흐리고 어리석은 마음이 아니라 네 별보다도 더 또렷하고 하늘보다도 더 높은 네 아름다운 마음이 행여 날 찻거든 혹시 그러한 날이 오거든 너는 부듸 내게로 와다고-. 나는 진정 네가 조타."(원문 표기)편지는 이상이 발표한 소설 `종생기`의 내용과 연관성을 띄고 있다. `종생기`에서 여주인공 `정희`는 주인공 `이상 선생`을 사랑하는 여인인 것처럼 그려져 있지만 사실은 다른 남성과 깊은 관계에 있음을 암시한다. 권 교수는 "`정희`로부터의 사랑의 배반을 자신의 종생과 관련시킨 소설이 정희의 편지로 시작하고 있다는 것이 흥미롭다"며 "최정희와의 관계를 소재로 하면서 실제로는 반대로 자신의 욕망과 그 좌절을 표현하고 있다는 점이 놀랍다"고 말했다. 공개된 편지는 다른 편지와 유품들과 함께 향후 설립될 종로문학관(가칭)에 기증된다. 이후 단행본으로 출간될 예정이다. 권 교수는 이 편지를 24일 통인동 `이상의 집`에서 열리는 `오감도 80주년 기념 특별 강연`에서 일반에 공개하고 뒷이야기를 소개한다.뉴시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