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지난 25일 세월호 특별법 심사를 침몰사고 진상조사 부분과 유가족 배상·지원 부분으로 나눠서 진행하는 방식으로 협상의 돌파구를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세월호 사건 조사 및 보상에 관한 조속 입법 태스크포스팀(TFT)` 소속인 새정치민주연합 우윤근 정책위의장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세월호 특별법에서 진실규명을 제외한 보상이나 배상, 지원 등의 문제는 완전히 분리해 처리하자는 입장을 공식적으로 다시 한번 제안한다"고 밝혔다. 이 시간 이후부터 세월호 사고 진상규명 부분에 한정해 법안심사를 하고 이를 바탕으로 28일 국회 본회의를 열어 진실규명을 위한 특별법만을 통과시키자는 게 새정치민주연합의 제안이다. 새정치연합의 이 같은 제안은 새누리당의 여론전 등에 대한 부담 때문으로 풀이된다. 새누리당이 야당과 유족의 과다한 배상·지원 요구를 문제 삼으며 여론전을 펴며 압박해왔다는 게 새정치연합의 판단이다. 실제로 이완구 원내대표 등 새누리당 원내 지도부는 이날 오전 세월호특별법 입법 관련 대책회의를 열고 새정치연합 전해철 의원의 특별법 안 중 배상·지원 부분을 문제 삼으며 "천문학적 비용" "중복지원" "과다지원" "재정적 부담" "선동적 주장" 등 단어를 동원해 비판을 가했다. 특히 새누리당은 소속 의원들에게 부적절 의견이 대거 포함된 전해철 의원법안 검토 보고서를 배포하면서 당내 여론조성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처럼 새누리당이 배상·지원 문제를 계기로 공세의 수위를 높이자 새정치연합으로선 더 이상 여론이 악화되기 전에 진상규명과 지원·배상 문제를 분리할 필요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새누리당은 이 안을 받아들일 가능성이 커 보인다. 새누리당은 그동안 진상조사와 재발방지 대책에 관한 법률을 먼저 입법하고 지원·배상 부분은 시간을 갖고 논의하자는 입장을 취해왔던 탓에 세월호 특별법 분리 심사는 성사될 것으로 예측된다. `세월호 사건 조사 및 보상에 관한 조속 입법 태스크포스팀(TFT)` 소속 여야 의원들은 그간 상당수 쟁점에서 이견을 좁혀온 것으로 알려졌다.여야는 사고 진상조사위원회 추천 주체를 여야와 대한변호사협회, 대법원, 유족 등으로 정하기로 가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외에도 진상조사위 특검보 파견과 자료제출 요구권, 동행명령권, 감사원 감사요구 등이 합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진상조사위에 제한적 수사권을 가진 특검을 참여시키고 이 특검이 추후에 후속수사를 진행하자는 새정치연합의 절충안도 받아들여진 것으로 보인다. 다만 남아있는 쟁점도 있어서 28일 본회의 처리 여부는 불투명해 보인다. 새정치연합은 특검 추천권을 자신들에게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새정치연합은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의 "법체계만 안 흔들면 특검도 야당이 임명하게 하겠다"는 발언을 근거로 제시하며 약속을 지키라고 압박하고 있다. 새누리당 이완구 원내대표는 이날 "(전해철 의원 안에 따르면)위원이 150명 정도일 경우 1인당 5000만원 정도로 1년동안 한다면 100억원 정도가 들 정도로 가늠이 잘 안 된다. 엄청난 비용이 들어갈 텐데"라며 우려를 드러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