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피아`(철도+마피아) 비리를 수사 중인 검찰이 한국철도시설공단 전(前) 감사 성모(59)씨를 체포했다. 철도 납품업체로부터 거액의 뒷돈을 받은 혐의다. 고위공직자가 업체로 부터 뇌물을 받는 것은 비일비재한 일이어서 놀랍지 않으나 이번의 경우는 충격적이다. 그가 감사원에서 건설·환경감사국장과 공직감찰본부장(1급)을 지낸 특수신분인 때문이다. 감사원의 공직감찰본부장을 지낸 인물이 뇌물에 맛을 들인 형편이니 감사원을 감사해야 한다는 말이 나올 것은 당연하다.검찰에 따르면 성 전 감사는 2010년 말부터 철도시설공단 상임감사로 재직하면서 국내 최대 철도궤도업체인 삼표이앤씨로부터 납품관련 편의를 봐달라는 청탁과 함께 수천만원의 금품을 수수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삼표이앤씨 관계자 등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성 전 감사의 금품 수수 정황을 포착,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지난 28일 신병을 확보했다. 검찰은 성 전 감사를 상대로 해당 업체와 관련한 철도시설공단의 감사 과정에 부당하게 개입했는지, 또 다른 업체 관계자나 공단 내 다른 간부들이 연루됐는지 등에 대해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죄를 케면 고구마 줄기처럼 무더기로 쏟아져 나올 것이고 누구와 작당했는지 패거리도 파악될 것이다.감사원간부가 `철피아` 비리에 연루돼 검찰조사를 받은 것은 이번이 두 번째다. 앞서 검찰은 지난 13일 철도납품업체 AVT사(社) 등 관련업체 9곳으로부터 2억2000만원을 수수한 혐의(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 등)로 감사원 서기관급(4급) 감사관 김모(51)씨를 구속 기소한 바 있다. 이들은 감사현장 지휘관급의 고위직이다. 3년전에도 한 감사위원이 저축은행 비리에 연루돼 구속된바 있다. 감사원은 그때마다 "최고 사정(司正) 기관으로서 다시 태어나겠다"며 전 직원이 `클린 서약서`를 썼고 이번에도 `긴급 자정(自淨) 토론회`를 여는 등 법석을 떨었지만 약효가 얼마나 지속될지 의문이다.감사원의 자체감사를 강화해야 한다. 물론 국장급 감찰관을 포함해 12명의 자체 감찰 부서를 두고 있기는 하지만 이번 경우처럼 공직감찰본부장이 그 모양이면 있으나마나다. 그간의 감사원비리도 자체적발이 아니라 대부분 검찰과 경찰에 의한 것이다. 게다가 6월24일 감사원이 내놓은 `신뢰받는 감사원을 위한 발전 방안`에는 감사원 자체정화 내용이 전혀 없다고 하니 이대로 둘 수는 없다. 외부기관에서 감사하는 방법이라도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