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식도 역류병’ 환자가 최근 4년 사이 37%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위·식도 역류병으로 인한 진료인원이 2009년 256만8000명에서 2013년 351만9000명으로 4년 사이 37.0% 증가했다고 5일 밝혔다.위·식도 역류병이란 위산과 위 속 음식물 등이 식도로 역류해 식도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고열량식과 고지방식 같은 서구화된 식습관, 비만, 음주와 흡연, 과도한 스트레스, 불규칙한 식생활 습관 등이 발병 원인으로 꼽힌다.연령대별로는 50대(24.4%)와 40대(20.2%) 환자가 전체의 44.6%를 차지했다. 60대(17.0%), 70대 이상(13.7%) 이상을 포함한 40대 이상 환자는 전체의 75.3%나 돼 고연령층 비중이 높았다.30대 이하의 진료인원은 10대 3.1%, 20대 7.6%, 30대 12.6% 등으로 연령대가 낮을수록 적었다.일산병원 소화기내과 서정훈 교수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하부 식도 괄약근의 기능이 약화되어 위·식도 역류병이 더 많이 발생하게 된다”며 “스트레스나 음주·흡연, 운동부족으로 인한 비만의 증가도 40~50대의 발병률이 높은 이유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성별로는 여성의 진료인원이 매년 남성보다 1.3~1.4배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 교수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증상에 대한 민감도가 크기 때문에 병원을 더 많이 찾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비만과 지나치게 조이는 복장도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이러한 위·식도 역류병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식도조임근을 약하게 하는 기름진 음식, 커피, 술 등을 피한다 △과식을 피한다 △복부 비만 개선을 위한 운동을 병행한다 △취침 중에는 침대머리를 높게 올리고, 우측보다 좌측으로 누워서 잔다 등이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