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내 동교동계가 7일 4·29재보궐선거에 적극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권노갑 상임고문 등 동교동계는 이날 현충원에서 매주 화요일마다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하는 화요모임을 갖고 이 같은 뜻을 확인했다. 이날 모임에는 이희호 여사와 권 고문을 비롯해 윤철상 박양수 김방림 정균환 김옥두 이훈평 이협 전 의원과 주승용 전병헌 최고위원이 참석했다.권 고문은 참배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박지원 의원이 밝힌 선당후사(先黨後私) 정신에 대해 “그 얘기가 맞다. 선당후사 정신으로 당을 도와주자는 뜻으로 그렇게 결론날 것”이라며 “4·29 재보선은 물론이고 앞으로 총선(승리), 정권교체까지 모든 힘을 합치고 나아가자 이렇게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그는 당내 일각의 반대 여론에 대해 “없다. 의견이 거의 다 모아졌다”고 못 박았다.그는 호남홀대론에 대해서는 “그런 것은 우리가 인정해야 한다”면서도 “앞으로는 그렇게 하지 않고 모든 계파를 초월해서 서로 배려하고 하나로 갈 수 있는 당 운영을 하면서 같이 화합적으로 나가자는 것, 그렇게 문재인 대표와 박지원 전 대표 간 의견 (일치를) 본 것 같다”고 말했다.그는 문 대표의 반응과 관련해 “제가 ‘당 운영은 반드시 주류와 비주류가 있기 마련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동안 정당정치 관행은 주류 60%+비주류 40%를 배합했다. 그 정신을 문대표도 이어나가길 바란다’고 이야기했다”고 밝힌 뒤 “(긍정적인 메시지가) 있었다”고 말했다. 권 고문은 참배 후에도 기자들과 만나 일각의 반대 여론에 대해 “그동안 분분했지만 박지원 대표와 문재인 대표가 만나 어느 정도 합의를 이뤘다”며 “김대중 전 대통령께서 살아 계실 때 ‘무엇보다도 하나가 돼야 한다’고 말씀하셨다. 그것은 저절로 되는 게 아니며 서로서로 북돋아주고 껴안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그러기 위해 당 지도부가 그런 동참을 이끌 수 있는 행동과 노력을 많이 해야 한다”며 “그 점이 우리가 아쉽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동교동계는 참배를 마친 뒤 서울 마포구의 한 식당에서 모임을 갖고 재보선 지원에 대한 논의를 이어갔다.양영두 고문은 모임 직후 기자들과 만나 “재보선 지원 ‘확정’은 아니지만 지원 ‘방향’으로 뜻을 모았다”며 “전당대회 룰 문제, 당직인사 등 남은 앙금에 대해 일방통행은 안 된다는 뜻을 박 의원을 통해 전달하고 (박 의원이) 문 대표와 만나 결론내릴 것”이라고 말했다.이같은 합의를 토대로 권 고문은 이날 중으로 박 의원을 만나 세부적인 지원 방안을 모색할 방침이다. 또 오는 9일에는 광주를 방문해 지역당원들과 간담회를 갖는 등 사실상 서구을 조영택 후보 지원사격에 나선다. 동교동계는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과 천정배 전 법무장관의 출마로 서울 관악을과 광주 서을 지역의 선거가 어려워진 상황에서 당 차원의 활동에는 직접 나서지 않았다. 권 고문만은 정 전 의장의 관악을 출마를 강력 비난하면서 현장지원에 나서겠다는 입장이었지만, 다른 동교동계 인사들이 이를 반대해왔다. 문재인 대표는 지난 5일 권 고문을 만나 지원을 요청할 계획이었지만, 참석자 조율에 실패하면서 회동은 무산된 바 있다.동교동계가 우여곡절 끝에 이같이 뜻을 모았지만, 관악을 경선에서 정태호 후보에게 석패한 김희철 전 의원은 여전히 전향적인 입장을 보이지 않고 있다. 김 전 의원은 이날 문 대표와 권 고문의 ‘러브콜’을 잇따라 거절했다.김 전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2015 다함께 정책엑스포’ 안철수 전 공동대표의 기조강연이 끝난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공은 당에 있다”며 “문 대표를 만날 때는 나름대로의 소신과 대안이 있어야 하는데 그에 대한 정리가 아직 안됐기 때문에 (만나기 어렵다)”고 답했다. 김 전 의원 측은 이날 현충원에서도 관악을 경선을 ‘여론조작사건’으로 규정하고 동교동계의 지원을 강력 반대하는 결의문을 취재진에게 배포하기도 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