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의 한화케미칼 울산 2공장 폐수처리장에서 3일 폭발사고가 발생해 협력업체 직원 6명이 숨졌다. 이 같은 사고에서 늘 그랬듯이 사망자는 모두 협력업체직원들이다. 이들은 폐수처리장 저장조 상부에서 배관 작업을 하던 중 폐수 잔류 가스가 용접 불티와 접촉해 폭발하는 바람에 참변을 당한 것으로 보인다. 대기업이 또 후진적인 산업재해 사고를 낸 것이다. 안전을 뒷전으로 미룬 기업의 책임이 크다. 최근 가스 누출에 의한 폭발이나 질식 사고가 대기업 사업장에서 일상사처럼 반복되고 있다. 지난 1월 경기 파주 LG디스플레이 공장 질소가스 질식 사고와 지난 4월에도 경기 이천 SK하이닉스 공장에서 질소 질식 사고로 3명이 사고 등 열거하자면 끝이 없으나 공통점은 위험한 작업일수록 하청, 재하청의 방법으로 이뤄지면서 인명의 소중함이 전혀 반영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열악한 하청업체들을 이용해 비용을 아끼려는 대기업의 하도급이 문제다. 이번 사고로 목숨을 잃은 근로자들은 하도급업체로부터 다시 하청을 받은 재하도급업체 소속이다. 수없이 많은 유사사고가 모두 같은 형태의 하청구조에서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사고 발생 장소는 대기업의 사업장이지만 그곳에서 숨진 희생자는 하청업체 노동자다. 산업재해라지만 더 정확히 말하면 안전관리 소홀로 인한 ‘인재(人災)’다. 이런 상황은 대구경북도 예외가 아니다. 실제 2012년 9월에는 화공업체 휴브글로벌 구미공장에서 불산 누출 사고가 일어나 작업자 5명이 숨지고 인근 주민을 포함해 1만 여명이 병원 치료를 받았다. 2013년 3월에 구미의 구미케미칼에서 염소가스가 각각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들은 모두 전형적인 화학물질 사고로, 허술한 화학물질 안전대책이 빚은 ‘인재(人災)’라는 데 공통점이 있다. 대구경북의 화학물질 취급 사업장들은 한화케미칼의 폭발사고를 반면교사로 삼아 철저히 점검해 봐야 할 것이다. 특히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전문인력양성에 노력해야 한다. 대부분의 화학사고는 비숙련자들이 작업할 때 발생한다는 점을 중시해야 한다. 문제는 이 같은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그 피해가 막심하다는 점이다.따라서 정부 차원에서 기본적으로 국민들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도록 보다 강도 높은 안전대책이 마련돼야 한다. 국민안전처가 언제쯤 제 구실을 할지 반문하지 않을 수 없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