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에 생계유지를 목적으로 한 자영업체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매업, 음식점업 커피점 등 진입 장벽이 낮은 전통 서비스업 분야에 퇴직자의 신규 창업이 늘고 있다는 것이다. 퇴직자가 몰려드는가 하면 청년층도 교육, 음식점·주점, 도소매 등 서비스업에 집중되고 있다. 이는 청년층이 직업을 구하는 과정에 생계를 위한 임시방편으로 자영업을 선택한 결과로 보인다. 대구의 어두운 그늘이 드러난 셈이다.14일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가 분석한 ‘대구지역 자영업 동향’ 자료에 따르면 2013년 말 현재 대구의 자영업체 수는 17만개나 된다. 2009년 15만7000개였던 자영업체 수는 2010년 이후 가파른 증가세를 이어 가고 있다. 전체 사업체에서 자영업체 매출액 비중 21.7%, 고용 비중 38.1%에서 보듯 열악한 구조다. 실제로 전체 자영업체 중 월평균 순이익이 200만원 미만인 업체가 70%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다.지역 전체 취업자 가운데 자영업자 비율은 30%로, 전국 광역시 중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자영업 비율이 과도하다는 것이다. 자영업자 비율은 지역 소득 수준과 통상적으로 반비례 관계를 보인다는 한국은행 측의 설명대로라면 대구지역 소득수준은 전국 최악이라는 것이 된다. 생계형 창업은 돈을 더 벌기 위한 것이 아니라 먹고 살기 위한 몸부림이다. 경제가 침체를 겪으면서 직장에서 조기에 밀려난 이들이나 노후대책이 망막한 은퇴자들이 적절한 일자리를 찾지 못한 채 너나없이 생계유지를 위한 창업으로 내몰리고 있는 것이다. 이러다보니 음식점이나 치킨집, 커피점 등 각종 체인점 같이 누구나 쉽게 뛰어들 수 있는 업종이 한 집 건너 즐비하게 늘어서고 있다. 큰 자본을 들이지 않고 특별한 기술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지방자치단체가 일자리 창출 차원에서 자영업자 활성화에 나서는 것도 한계가 있다. 그렇다고 정부 차원에서 자영업자 지원책도 없다. 자영업 창업에 대한 지자체 차원의 체계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 충분한 시장조사와 경쟁력 등에 대한 사전검토 등을 상담할 수 있는 기구가 필요해지고 있다. 노후를 대비해 비자발적인 창업에 나섰다가 더욱 불안한 노후를 보내거나 청년들이 취업난으로 자영업에 진입했다가 실패하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을 수 있도록 중장기적인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