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의 해킹 프로그램 구입과 민간인 사찰 의혹이 정국을 강타하면서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운영에도 적잖은 부담이 될 전망이다.이탈리아 보안업체의 해킹 프로그램 구입 및 운용을 담당했던 국정원 직원의 자살로 국정원 해킹 파문이 정치쟁점화되면서 정국에 긴장이 급속히 고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국회법 개정안을 둘러싼 유승민 전 원내대표와의 갈등과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등 연이은 악재서 최근 간신히 벗어난 박 대통령으로서는 국정원 해킹이라는 돌발 악재에 곤혹스러울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박 대통령으로서는 국가안보 핵심기관인 국정원이 잇따라 정치논쟁의 중심에 서면서 국정운영은 물론 국가안보 관리에도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는 점에서 깊은 우려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유 전 원내대표의 사퇴와 새누리당의 신임 원내지도부 선출을 계기로 당청간 신밀월 관계를 형성하던 시점에 이번 파문이 터졌다는 점이 박 대통령으로서는 뼈아프다. 임기 반환점을 앞두고 여권의 분열을 이제 막 수습하며 국정운영에 드라이브를 걸려던 찰나에 외부 악재로 뜻하지 않은 브레이크가 걸린 모양새다.반면 청와대는 이번 파문에 대한 입장 표명을 극도로 자제하며 사태 추이를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국정원 해킹에 대한 박 대통령의 입장을 묻는 질문에 “따로 드릴 말씀은 없다”며 말을 아꼈다.박 대통령이 오는 21일 주재할 예정인 국무회의에서 국정원 해킹 의혹과 관련한 입장을 표명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