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는 뉴바이올로지전공 남홍길 펠로우(Fellow, IBS 식물노화‧수명연구단장) 연구팀이 포스텍 이승재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생명체 노화 및 수명 조절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RNA 이중나선분리효소인 HEL-1의 기능을 새롭게 발견했다.노화 및 수명을 조절하는 유전자 및 단백질에 대한 연구는 많았지만 RNA가 노화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근거는 부족했으며, 특히 전반적인 RNA 기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RNA 이중나선분리효소의 노화 및 수명 조절 기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었다.연구팀은 예쁜꼬마선충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RNA 이중나선분리효소 가운데 ‘HEL-1 효소 단백질’이 노화 및 수명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야생 예쁜꼬마선충에 비해 2배 이상 오래 사는 예쁜꼬마선충 돌연변이체에서 HEL-1 효소 단백질의 기능을 저하시킬 경우 수명이 약 39% 단축되는 것을 확인했으며, 이와는 반대로 야생형에서 HEL-1 효소 단백질을 추가적으로 과다 발현시킬 경우 수명이 최대 18% 증가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러한 현상이 다양한 수명 조절 경로 가운데 인슐린 조절 경로에서 특이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으며, 수명 측정 실험을 통해 장과 신경 조직에서 발현되는 HEL-1 효소 단백질이 수명 조절과 관련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또 연구팀은 차세대 염기서열분석법을 통해 장수에 필요한 RNA 이중나선분리효소인 HEL-1 효소 단백질이 노화 및 수명 조절에 중요한 FOXO 전사조절인자와 상호작용으로 수명 연장을 유도할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HEL-1 효소 단백질과 FOXO 전사조절인자는 사람을 포함한 많은 생명체에서 진화적으로 잘 보존돼 있는 단백질들이이기 때문에 이번 연구를 통해 알려진 노화 및 수명 조절 기전은 사람의 수명 조절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사람의 장수에 기여하는 단백질을 찾고 노화 조절 물질을 개발하는데 일조할 것으로 보인다.DGIST 남홍길 펠로우는 “이번 연구는 노화와 수명의 조절 기전에서 기존에 잘 알려져 있지 않았던 RNA 구조 변화를 통한 조절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하게 될 것”이라며 “진화적으로 생명체에서 잘 보존돼 있는 단백질 기전인 만큼 사람의 노화 및 수명 연구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 과학기술 전문저널인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20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