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박이 온·오프라인에 걸쳐 기승을 부리고 있다. 조직폭력배가 도박장을 개설해 운영하는가 하면 일가족이 나서서 도박판을 벌여 놓고 서민들의 주머니를 노리고 있다. 대구지검 강력부는 조직폭력배를 동원해 수십억원 상당의 판돈이 오가는 대규모 도박장을 개설한 총책 A(49)씨와 김천 폭력조직 소속 B(41)씨, 구미 폭력조직 C(41)씨 등 주범 3명을 포함해 7명을 구속기소하고 나머지 조직원과 상습도박자 등 9명을 불구속 기소했다. 검찰에 따르면 A씨는 김천 구미 대구의 폭력조직과 연계해 이들 조직원 16명과 공모, 지난해 9월부터 올 5월까지 대구경북 일대 야산과 주택가를 돌아다니며 도박 참여자를 모아 1회 당 100만-300만원의 판돈을 걸고 도박판을 개설한 혐의다. 하지만 이번처럼 적발된 것은 빙산의 일각이다.일당은 갖은 악행을 다 저질렀다. 일당이 도박장에 끌어들인 이들은 주부, 일용직 근로자, 영세 자영업자 등 서민이 대부분이다.이들 중엔 무릎 수술과 당뇨 합병증 치료를 위해 대출받은 병원비로 도박을 하다 적발된 50대 여성이 있는가 하면 도박판에서 수천만원을 탕진하고 빚을 떠안게 된 중년 여성도 있다. 평범한 서민들로 도박 중독으로 빚까지 지는가하면 일부는 단순 도박자에서 모집책 등으로 범행에 가담했다.검찰 수사에서 이들은 도박장 운영과정에서 참여자가 돈을 탕진할 경우 3일 5%, 10일 10%의 높은 이자를 붙여 돈을 빌려줬으며 즉석에서 폰뱅킹으로 돈을 선금받은 뒤 선이자를 공제하고 빌려주는 불법사채금융 수법까지 썼다. 일당은 각 지역 조직폭력배와 연계, 조직의 보호 아래 장소를 수시로 바꿔가며 도박장을 개설하고 그 대가로 보호비를 지불하는 수법을 썼다. 해당 폭력조직 등은 직접 도박장 운영권을 건네받아 운영하기도 했으며 이 과정에서 자신들끼리 금전 문제로 흉기 상해까지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다.불법 도박이 만연해 있다는 건 그만큼 우리 사회의 가치관과 정서가 건강하지 못하다는 뜻이다. 그리고 지금처럼 단속기관이 여러 군데로 나뉘어져 있으면 불법도박 근절 효과를 내기도 어렵다. 사법기관은 물론 금융거래와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해 전담조직을 만들어 일원화된 감시·단속 체계를 갖춰야 한다. 아울러 도박에 관대한 인식과 세태부터 바뀌도록 사회 전체가 노력해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