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국무총리는 29일 “국정원이 그동안 여러 논란에 섰기 때문에 정부에서도 그 부분을 생각하면서 개선방향을 생각중”이라고 밝혔다. 황 총리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정의당 심상정 신임 대표 취임 인사차 방문에서 “국정원에서 뭘 했다는 것 자체가 불법이라 할 수 없다”면서도 이같이 말했다. 그는 “중요한 것은 진실이 뭐냐는 것”이라며 “의혹이 제기됐다고 국가 기관의 기능이 문제가 생기는 일이 있어선 안된다. 진실이 잘못된 것이라면 그에 상응한, 엄정한 조치가 있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황 총리는 이어 “국가기관이 함부로 아무나 감청, 도청을 하고 있는 게 아니냐고 혹시라도 생각할 수도 있지만, 진상이 밝혀진다면 엄정하게 처리할 것”이라며 “국민들의 걱정과 생각을 고려해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황 총리는 또 “국정원 관련 문제는 현재 검찰 수사 중에 있으니 시시비비를 가리는 일이 선행되고, 그런 토대 아래서 사후처리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고 덧붙였다.심 대표는 이에 “국정원 문제가 국민들에게 큰 걱정을 주고 있다”며 “일각에서는 국정원이 ‘걱정원’이 아니냐는 지적을 하고 있다. 진위를 떠나서 음지에서 국가안보를 위해서 일하는 정보기관이 자꾸 언론의 중심에 등장하는 것 자체가 문제”라고 지적했다. 황 총리와 심 대표는 정부가 강력히 추진 중인 노동개혁 현안에 대해서도 의견을 주고 받았다.황 총리는 “정부에서는 경제 살리기가 제일 중요한 문제라 생각해서 거기에 집중하고 있다”며 “특히 대통령께서는 민생 안정에 늘 관심갖고 있다. 하지만 국민들이 편안하게 사실수 있도록 해야하는데 많은 부족한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이에 심 대표는 “한국은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이지만 노동자 관련 지표는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기준 세계 꼴찌 수준”이라며 “노동자 지표를 경제수준에 걸맞는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노동시장 개혁의 기본 목표가 돼야 한다”고 답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